김회재 의원, 통계청 주택자산통계 첫 100분위 분석
상위 1% 평균주택자산가액 30억9천만원…하위 10%는 4천500만원
20대 이하 다주택자 1만5천907명…미성년자 1천377명 달해
지난해 상위 1% 가구가 소유한 주택 수가 하위 10% 대비 약 5배에 달하고 주택자산가액은 수십배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20대 이하 다주택자 수도 1만명을 넘었다.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14일 통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주택소유통계’ 자료 분석 결과, 2020년 주택보유가구 중 상위 1%가 소유한 주택 수는 4.75채였다. 하위 10%가 소유한 주택 수가 1채인 것과 비교하면 약 5배 가량 많은 것.
주택자산가액 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 상위 1%의 평균주택자산가액은 30억3천만원으로, 하위 10% 4천500만원 대비 68.6배에 달했다. 특히 통계청 주택소유통계가 실제 가격보다 낮은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하는 만큼, 상위 1% 주택자산가액은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위 50%의 주택자산가액은 1억8천400만원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주택 보유가구를 줄 세웠을 때 가장 중간에 있는 가구의 주택자산가액이 1억8천400만원으로, 상위 1% 대비 수십배 적다는 의미다.
미성년자 다주택자는 1천377명이었으며, 20대 이하 다주택도 1만5천907명에 달했다.
특히 수도권 지역의 미성년자 다주택자는 서울 323명, 경기 346명, 인천 70명 등 739명으로 전체 미성년자 다주택자의 53.7%를 차지했다.
20대 이하 다주택자도 절반 이상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고 있었다. 지역별로는 경기 3천878명, 서울 3천422명, 인천 993명 등 총 8천293명으로 전체 20대 이하 다주택자의 52.1% 수준이다.
김회재 의원은 “막대한 유동성으로 자산가격이 상승하면서 불평등이 악화됐다”며 시급한 부의 재분배를 강조하고 “부동산 등 비생산적 분야에서 생산적 분야로 자원이 배분되도록 필요한 정책을 발굴·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거주지역별 연령대별 2건 이상 주택소유자 수 개인단위 (2020년)(단위: 명)
구분 |
|
소유자 연령구간별 |
||||||
전체 |
20대 이하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이상 |
||
|
|
미성년자 |
|
|
|
|
|
|
전국 |
2,319,648 |
15,907 |
1,377 |
186,523 |
552,462 |
703,626 |
545,040 |
305,056 |
서울 |
386,019 |
3,422 |
323 |
29,411 |
88,253 |
113,882 |
94,347 |
55,483 |
부산 |
162,253 |
959 |
82 |
12,084 |
36,924 |
47,168 |
42,054 |
22,141 |
대구 |
102,978 |
555 |
44 |
7,992 |
25,854 |
32,975 |
23,588 |
11,625 |
인천 |
116,142 |
993 |
70 |
10,253 |
29,412 |
37,340 |
26,143 |
11,646 |
광주 |
61,584 |
459 |
38 |
5,359 |
16,585 |
19,524 |
13,014 |
6,484 |
대전 |
66,109 |
427 |
27 |
5,619 |
17,470 |
20,774 |
14,654 |
6,989 |
울산 |
58,085 |
291 |
18 |
5,477 |
14,836 |
20,071 |
12,918 |
4,333 |
세종 |
18,431 |
121 |
13 |
2,170 |
6,108 |
5,329 |
3,165 |
1,494 |
경기 |
554,365 |
3,878 |
346 |
50,390 |
150,154 |
175,628 |
115,744 |
56,989 |
강원 |
78,461 |
467 |
42 |
4,977 |
15,310 |
22,786 |
21,727 |
12,761 |
충북 |
77,212 |
525 |
37 |
6,201 |
16,658 |
23,449 |
19,301 |
10,643 |
충남 |
119,069 |
879 |
74 |
10,050 |
25,677 |
32,592 |
27,918 |
21,081 |
전북 |
84,164 |
497 |
47 |
5,457 |
17,240 |
24,003 |
20,996 |
15,307 |
전남 |
91,530 |
569 |
36 |
6,047 |
16,305 |
24,950 |
23,931 |
18,812 |
경북 |
134,591 |
773 |
54 |
9,185 |
26,094 |
39,407 |
35,840 |
21,985 |
경남 |
170,557 |
817 |
81 |
13,304 |
40,557 |
51,895 |
40,891 |
22,036 |
제주 |
38,098 |
275 |
45 |
2,547 |
9,025 |
11,853 |
8,809 |
5,247 |
* 전체에는 각 연령구간에 속하지 않는 사망자(소유권 미이전) 포함
자료: 김회재 의원실
□ 주택자산가액 기준 100분위 가구별 평균 소유주택수 및 자산가액(단위: 호, 억원)
|
2020 |
|
평균 소유주택수 |
평균 주택자산가액 |
|
전체 |
1.36 |
3.24 |
100분위 (상위1%) |
4.75 |
30.89 |
99분위 |
2.86 |
18.2 |
98분위 |
2.48 |
14.73 |
97분위 |
2.39 |
12.56 |
96분위 |
2.2 |
11.09 |
95분위 |
2.01 |
10.05 |
94분위 |
1.95 |
9.25 |
93분위 |
1.91 |
8.59 |
92분위 |
1.89 |
8.01 |
91분위 |
1.88 |
7.48 |
90분위 |
1.82 |
7.03 |
80분위 |
1.48 |
4.53 |
70분위 |
1.4 |
3.28 |
60분위 |
1.3 |
2.42 |
50분위 |
1.24 |
1.84 |
40분위 |
1.18 |
1.42 |
30분위 |
1.11 |
1.07 |
20분위 |
1.08 |
0.76 |
10분위 |
1.02 |
0.45 |
1분위 (하위1%) |
0.8 |
0.06 |
자료: 김회재 의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