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2. (목)

뉴스

기재부, 전자수입인지 대행업무 민간기관 참여 허용

수입인지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작업 추진…‘인지세 탈세 감소 전망’

전자문서용 전자수입인지 업무대행기관 자격요건에 전문성 있는 민간기관의 참여를 허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기재부는 오는 7월 전자문서용 전자수입인지도입을 위한 첫 단계로 ‘수입인지법 시행령’상의 대행기관 자격요건 규정을 개정하기 위해 내달 20일까지 개정안을 입법예고 했다.

 

전자문서용 전자수입인지란 기존의 우표형수입인지, 종이문서용 전자수입인지와 달리 전자문서에 직접 첩부되는 이미지 형태의 수입인지를 말한다.

 

현재는 ‘금융결제원’과 ‘결제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국고관련 업무경험이 있는 기관’만이 전자수입인지 업무대행기관이 될 수 있었으나, 전자문서의 유통·관리·보관 업무 경험이 있는 기관까지 포함해 다양한 민간 전문기관에게 업무대행기관 참여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기재부는 입법예고 기간 중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시행령 개정안을 최종 확정하고 개정된 시행령에 따라 선정공고와 평가를 거쳐 7월에 업무대행기관을 선정하고 전자문서용 전자수입인지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전자문서용 전자수입인지가 도입되면 전자문서의 인지세 납부시 A4용지 크기의 전자수입인지를 출력한 후 스캔해 이를 전자문서에 첨부하던 번거로움이 해소돼 사용자만족도가 제고될 전망이다.

 

또한, 전자문서 자체에 수입인지가 첩부되므로 인지세 납부여부가 즉시 확인돼 인지세 탈세가 감소되고 부수적으로는 원본 문서의 불법적 위·변조를 방지하는 등 중소 하도급 업체를 보호하는 역할도 기대되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