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범죄특별수사단(특수단)이 27일 공식 출범하면서 첫 수사 티깃에 검찰 안팍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처음이라는 개념에는 특수단의 성격 규정이나 활동 방향, 특수단의 존폐 여부 등이 모두 포함돼 있어 정치권과 기업, 검찰 등이 관심의 끈을 놓지 못하는 것이다.
김기동 단장을 비롯한 특수단은 이런 상황을 다소 부담스럽게 받아들이면서도 첫 테이프를 제대로 끊기 위해 현재 폭넓은 탐문 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전해진다.
사실상 지난 13일 김 단장 체제가 구성된 후 보름 가량 수사 인력 배치와 첫 수사 타깃을 위한 탐문에만 집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후문이다.
사정당국 관계자는 "최근 복수의 검찰 인사로부터 특수단의 첫 수사 대상을 무엇으로하면 좋겠느냐는 질문을 받았다"며 "우선 특수단의 존재감을 가장 확실히 드러낼 수 있는 사건을 찾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구조적 부정부패의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게 중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언제나 그렇듯이 기업비리와 연결된 고위공직자나 정치인을 찾아내야 한다는 얘기다.
최근 여의도 정치권과 서초동을 중심으로 S기업과 또 다른 S기업, L기업, D기업 등이 자주 거론되고 있는 것도 이런 상황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이들 기업 수사가 정치인 등으로 이어질 경우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검찰의 정치개입 의혹이 불거질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당장 수사를 바로 시작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내사 진행 시간까지 감안하면 수사가 본궤도에 오르는 시점이 총선 이후가 될 수 있다"며 "그러면 정치개입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특수단도 이런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범죄 혐의가 드러나면 수사를 하는 것이지 이런 저런 사정을 따지는 것은 원칙이 아니다"라는 말이 특수단 내에서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특수단 구성원들의 면면도 정치인과 기업인이 연루된 대형 부패사건을 첫 타깃으로 할 것이란 관측을 가능하게 한다.
김 단장은 검찰 내에서 손꼽히는 특수통으로 대형 부패사건 등을 진두지휘한 경험이 풍부하다.
서울중앙지검 특수 1·3 부장검사로 근무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그는 2013년 부산지검 동부지청장에 설치된 원전비리 수사단장을 맡아 '왕차관'으로 불린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과 김종신 전 한국수력원자력 사장 등을 법정에 세웠다.
지난해에는 방위사업비리합동수사단을 이끌며 최윤희 전 합참의장 등 전현직 군 고위 관계자들을 무더기로 재판에 넘기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한국 IBM의 660억원대 납품비리 사건 등도 그의 작품이다.
주영환 1팀장은 2012년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 수사 당시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을 구속기소하는 등 거물급 인사를 대상으로 한 수사에서 활약했다. 지난해에는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 소속으로 이완구 전 총리를 수사하기도 했다.
한동훈 2팀장은 기업비리 수사에 능하다는 평을 받는다. 2003년 SK그룹 분식회계 사건, 2006년 현대자동차 횡령·배임 사건 수사에 참여해 최태원 SK 회장과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을 각 구속시키는데 역할했다. 지난해 신설된 공정거래조세조사부 초대 부장을 맡아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을 횡령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검찰 한 인사는 "검찰 내에서도 특수단에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내부의 기대와 '중수부 부활'이라는 외부의 우려 속에서 성과를 내야하는 만큼 첫 수사 대상을 두고 고민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