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중국 위안화예금 상품으로 시중자금이 크게 몰리자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위안화예금은 이전까지 한국에 지점을 두고 있는 중국계은행에서 주로 판매됐다. 하지만 최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맞춰 국내은행들이 관련 상품을 잇따라 출시하자, 금융당국도 위안화예금에 대한 모니터링 범위를 중국계은행에서 시중은행으로 확대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3일 "시중은행들도 위안화예금 상품을 출시하면서 저금리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들이 위안화예금으로 몰리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자금 흐름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위안화예금은 최근 한 달 동안 10억달러 이상 증가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0월말 거주자의 외국환은행 위안화예금은 217억달러로 한 달 사이에 13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는 전체 외화예금(664억1000만달러)의 32.7%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처럼 위안화예금이 인기를 끄는 것은 국내 예금상품보다 금리가 1%포인트 가량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안화예금은 보통 가입할 때 원화를 위안화로, 만기 때는 위안화를 원화로 환전하는 구조다. 이 과정에서 환율 변동에 노출되는 만큼 환리스크를 감안해야 할 것으로 지적된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의 천대중 수석연구원은 "위안화예금은 국내 예금상품과의 금리차이 때문에 매력적으로 보이지만 이면에는 환 리스크 부담이 있다"며 "위안화예금 가입 시점에 비해 만기 시점에 원화가 강세를 보이면 나중에 돌려받을 돈이 적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일차적으로 은행들이 위안화예금의 환차손 가능성을 설명하고, 예금자도 이를 인지하고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위험요인이 있다면 은행권에 환율 변동 위험과 관련해 설명 의무를 강화토록 지시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안화예금에 대한 자금흐름을 살펴보면서 필요하다면 '환 리스크'에 대해 확실히 고지토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이 현재까지 위안화예금의 자금흐름을 들여다본 결과 위험요인이나 부작용 등은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 중국계 은행에 대한 위안화예금 창구 지도를 통해 위안화예금 '자제령'을 내렸다가 올해 4월 해제했다. 중국계 은행이 국내에서 유치한 위안화 예금을 중국으로 가져가 대출로 운용할 경우 여신 부실로 국내 예금주들이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금감원 관계자는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과 논의해 창구지도보다는 자율규제가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내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