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2. (목)

기타

김무성 "공무원연금 적자 메우는 증세, 현실 불가능"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0일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 "공무원연금 적자를 메우기 위한 증세는 명분도 없고 현실적으로 수행이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에 개혁을 못하면 공무원연금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선 증세나 국채 발행 밖에는 대안이 없는데 둘 다 국민에게 큰 부담이 된다. 국민에게 여쭤봐야 할 사항"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연금으로 인한) 적자규모는 현 정부에서만 15조원, 다음 정부에서 33조원, 그 다음 정부에서는 53조원 등 시간이 흐를수록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며 "개혁의 골든타임인 지금을 놓치면 향후 정치일정상 10년 뒤에 (개혁을) 한다고 하더라도 39조원의 세금 부담을 감당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국채 발행에 대해서도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기조 속에서 미래 세대에 더 큰 부담을 떠넘기는 무책임한 행위일 뿐"이라고 부정적인 목소리를 냈다.

김 대표는 "대한민국은 공무원연금 개혁을 추진할 수 밖에 없는 절박한 사정을 갖고 있다"며 "100만 공무원에게 미안한 마음을 갖고 있으면서도 개혁을 추진할 수 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이런 절박한 상황을 법안으로 만들어 발의했으니 야당과 공적연금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에서는 이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대안을 제시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김 대표는 지난 7일 공투본과 끝장토론이 파행으로 끝난 것에 대해서는 "대화가 너무 짧은 시간에 끝나 아쉬움이 많다"며 "새누리당은 대화의 장을 열고 타협과 설득을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김 대표는 '세월호 3법'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것과 관련 "유가족들의 눈물을 닦아주지 못해 가슴이 꽉 막힌 기분이었는데 체증이 확 내려간 기분"이라며 "일반인 유가족이 염려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진상조사 과정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배려하겠다"고 약속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