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2. (목)

기타

공무원단체, 연금개혁안 찬반투표 첫날 순조롭게 진행

5일 오전 8시를 기해 실시된 새누리당의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한 공직 사회의 의견을 묻는 찬반투표가 순조롭게 치뤄지는 분위기다.

공무원단체 서울지부 투표소가 마련된 서울시청에는 이른 아침부터 한 표를 행사하려는 공무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번 투표 대상자는 합법 노조인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조합원을 포함한 107만 명의 전 공무원이다. 법외 노조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은 6일부터 찬반 투표가 가능하다.

첫 투표자로 나선 임모(54)씨는 "국가가 어려울 때 임금 동결 형태로 같이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묵묵히 일해온 댓가 치고는 혹독하다"며 운을 뗀 뒤 "나라 살림이 어려워진 데에는 국가 책임이 가장 큰데도 인정이나 사과 없이 연금법만 손 대려 한다. 사명감을 갖고 일한 스스로에 대한 모멸감과 상실감을 느낄 정도"라고 성토했다.

임씨는 "퇴직까지 6년 남은 나 역시 연금만 보고 (노후 준비를 해)왔다"면서 "공무원들의 의견 수렴이 이뤄지지도 않은 연금법 개정을 찬성할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투표소에서는 이홍기 서울특별시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을 포함한 공무원 3명의 삭발식도 거행됐다.

이 위원장은 삭발 직후 "우리(공무원)가 왜 국민들의 적이 돼야 하는지 모르겠다. 눈물만 난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 재정이 악화돼 연금을 깎겠다면서도 정부는 국가 재정이 왜 어려워졌는지 조차 설명해주질 않는다"면서 "공무원들은 고통 분담할 의향이 있다. 일본, 영국과 같이 사회적 협의안을 만들어 복지국가의 토대를 만들어 가자"고 제안했다.

류영록 공노총 위원장은 "공무원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 민간근로자와 동등한 대우를 받길 원한다"며 "이제라도 범국민 사회적 협의를 추진해 백년대계를 바라보는 연금개혁안을 만들자"고 촉구했다.

공무원연금 투쟁 협의체인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는 오는 10일 오후 6시까지 투표를 진행한 뒤 11일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