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8시를 기해 실시된 새누리당의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한 공직 사회의 의견을 묻는 찬반투표가 순조롭게 치뤄지는 분위기다.
공무원단체 서울지부 투표소가 마련된 서울시청에는 이른 아침부터 한 표를 행사하려는 공무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이번 투표 대상자는 합법 노조인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조합원을 포함한 107만 명의 전 공무원이다. 법외 노조인 전국공무원노동조합(전공노)은 6일부터 찬반 투표가 가능하다.
첫 투표자로 나선 임모(54)씨는 "국가가 어려울 때 임금 동결 형태로 같이 허리띠를 졸라매면서 묵묵히 일해온 댓가 치고는 혹독하다"며 운을 뗀 뒤 "나라 살림이 어려워진 데에는 국가 책임이 가장 큰데도 인정이나 사과 없이 연금법만 손 대려 한다. 사명감을 갖고 일한 스스로에 대한 모멸감과 상실감을 느낄 정도"라고 성토했다.
임씨는 "퇴직까지 6년 남은 나 역시 연금만 보고 (노후 준비를 해)왔다"면서 "공무원들의 의견 수렴이 이뤄지지도 않은 연금법 개정을 찬성할 수가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투표소에서는 이홍기 서울특별시공무원노동조합 위원장을 포함한 공무원 3명의 삭발식도 거행됐다.
이 위원장은 삭발 직후 "우리(공무원)가 왜 국민들의 적이 돼야 하는지 모르겠다. 눈물만 난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 재정이 악화돼 연금을 깎겠다면서도 정부는 국가 재정이 왜 어려워졌는지 조차 설명해주질 않는다"면서 "공무원들은 고통 분담할 의향이 있다. 일본, 영국과 같이 사회적 협의안을 만들어 복지국가의 토대를 만들어 가자"고 제안했다.
류영록 공노총 위원장은 "공무원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 민간근로자와 동등한 대우를 받길 원한다"며 "이제라도 범국민 사회적 협의를 추진해 백년대계를 바라보는 연금개혁안을 만들자"고 촉구했다.
공무원연금 투쟁 협의체인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는 오는 10일 오후 6시까지 투표를 진행한 뒤 11일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