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기초 체력이 지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도 더 악화됐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국내기업 1만5914개(대기업 3206개, 중소기업 1만2708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 수익성이 30% 악화되고, 금리가 2%포인트 상승하면 조사대상 기업 중 위험 기업의 비중은 지난해를 기준으로 16.5%에서 30.2%로 13.7%포인트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먼 브러더스 파산을 계기로 금융위기가 전세계로 확산됐던 지난 2009년 (13.5%→24.3%)에 비해서도 훨씬 더 높은 것이다. 은 기준을 적용해보니 리먼 사태때보다도 한계기업의 비중이 더 높아진다는 얘기다.
위험 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고, 1년 이내에 상환해야할 부채가 같은 기간동안 돌려받을 채권보다도 많은 기업을 가리킨다.
위험기업이 보유한 부채를 뜻하는 위험부채 비중도 2009년의 경우 7.9%포인트 상승한 반면 지난해에는 8.7%포인트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
금리인상 등으로 한계상황으로 내몰리는 위험 기업의 비중이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도 늘어나는 이유는 '기업 수익성의 양극화' 때문이다. 영업이익 상위 30대 기업의 점유비중은 지난해 51.7%로 2009년에 비해 11.1%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은 “(조사대상 기업들의) 매출액 비중에 큰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영업이익 비중이 크게 바뀐 것은 수익창출 능력이 떨어졌지만 저금리 등에 힘입어 연명하는 기업들이 과거에 비해 늘어났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금리 인상 등 대내외 충격은 재무 건전성을 더욱 떨어뜨려 한계 기업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다는 얘기다.
한은은 ▲조사대상기업들의 수익성이 15% 하락하고, 시장금리는 1% 상승 ▲수익성이 30% 떨어지고, 시장금리는 2% 상승 등 두 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