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세공무원들의 명퇴환경과 명퇴실행에 상당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는 전문.
얼마전까지만 해도 국세공무원들은 세무법인 행이나 동료와의 동업 또는 특별한 사업아이템을 갖고 세무사사무소를 개업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보통 최대한 명퇴시기까지 근무하다 퇴직하는 모습이 일반적.
특히 지속되는 경기침체로 중소기업 등이 어려움을 겪자 세무사업계까지 같은 불황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으며 ‘개업여건이 녹록지 않다’는 이유로 정년까지 근무하고, 개업을 하지 않는 퇴직자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던 것.
그러나 최근 이러한 보편적인 흐름과 달리 오히려 빨리 퇴직해 개업하는, ‘자신감’ 넘치는 직원들도 있는데, 실제로 내년 상반기 명퇴가 예정된 일부 관리자는 올해 말 명퇴를 신청을 예정하고 현재 개업준비가 한창.
한 관리자는 “최대한 여력이 있을 때 바로 개업하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이라며 “‘한번 해보자!’는 자신감이 있을 때 개업해야지 만약 주저하다가 시기를 놓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생각 때문인 것 같다”고 귀띔.
다른 관리자도 “다들 ‘(세무사업계가)어렵다 어렵다’고 말하면서도 거의 (세무사사무소 개업을)하지 않느냐”면서 “개업은 선택인데 주위에서 ‘어렵다’고 말하면 힘 빠진다. 그런데 그런 말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히려 명퇴시기를 앞당겨 개업을 하는 것을 보니 명퇴시기보다 자신감이 더 중요한 것 같다”고 촌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