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이 지난 20일 역대 최대 사무관승진(내정)인사를 단행한 가운데 승진자들의 임용출신 분석결과 세무대학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은 이번 승진인사에서 관세직<일반48명,특별12명> 60명, 공업·방송통신·해양수산직 6명 등 총 66명의 승진자를 배출했다.
이처럼 역대 최대승진 잔치를 열었음에도 일선세관은 다소 미묘한(?) 분위기로, 무엇보다 승진자 대다수가 세무대학 출신들로 분석되는 등 7·9급 공채출신들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본 것 아니냐?는 푸념도 터져 나온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관세직승진자 60명 가운데 세무대학 출신은 48명, 7급-2명·9급공채-6명 등으로 세무대학 출신이 전체 승진자의 87%를 점유하고 있다.
이와관련, 세무대학 출신이 근무중인 국세청 또한 올 해 사상 최대의 승진인사에서 세무직승진자 220명 중 147명이 세무대학 출신으로, 전체 승진자 가운데 약 67%를 점유하고 있다.
관세청과 국세청 양대 세수기관 모두 세무대학 출신이 활약하는 상황은 비슷하나, 올해 사무관 승진시 국세청에선 2/3를 점유하는 반면, 관세청에선 90% 가량을 휩쓸고 있다.
특히, 올들어 사무관승진인사에서 관세청내 세무대학 출신이 이처럼 강세를 보인데 대해, 7·9급 공채출신들은 임용출신별 쏠림 현상이 심각하다는 의견을 개진하고 있다.
이와관련, 10월 현재 관세청 6급 현원은 약 1천130여명으로, 이 가운데 세대출신은 527명(46.5%), 7·9급출신이 605명(53.5%)으로 비세대 출신이 근소하게 앞서고 있다.
관세청 전체 6급 현원을 공직임용 출신별로 구분할 경우 비세대가 세대에 비해 높은 상황임에도 정작 사무관 승진인사에서 10% 선을 턱걸이하는 셈이다.
그러나 관세청 인사관리담당관실은 사무관승진인사에서 임용출신을 비교할 경우 현원 이 아닌 승진후보자 명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해명했다.
실제로 공직은 물론 사기업에서도 각종 승진인사시 직급별 현원 모두를 승진대상으로 간주하지 않고, 근평과 업무역량평가 등을 반영한 자체 승진명부를 작성한 후 승진 TO 대비 2~3배수의 승진후보자를 대상으로 인사작업을 착수한다.
관세청 인사관리담당관실에 따르면, 이번 단행한 승진인사에서 승진후보자 명부에 포함된 세무대학 출신은 85%를 넘었으며, 비세대의 경우 10%선을 겨우 유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승진후보자 명부순에 의해 관세청의 이번 사무관 승진인사가 단행됐다는 의미다.
한편에선 승진후보자 명부 작성시 세무대학 출신이 대거 포진한데 대해 의문을 제기하나, 과거 관세청의 7·9급 공채시험이 주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관세청은 세무대학 출신이 공직에 임용되던 즈음인 89년부터 94년까지 6년 동안 9급 공채출신을 선발하지 않았으며, 7급 또한 93년까지 5년간 선발하지 않았다.
7·9급 공채출신이 무려 5~6년 동안 선발되지 않았고, 그 인력을 세무대학 출신이 대체한 탓에, 결과적으로 이번 사무관승진인사에서 특정 임용출신 쏠림 현상이 빚어졌다는 분석이다.
관세청 관계자는 “본청은 물론, 각 본부세관내 핵심부서에서 근무중인 이들 대다수가 세무대학 출신들”이라며, “아쉽게도 이번과 같은 쏠림 현상은 7·9급 공채가 중단된 시기와 동일하게 최대 4~5년간 이어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
근무평정을 받기가 수월한 세관내 핵심보직을 세무대학 출신들이 대거 점유한데다, 승진 가시권에 포함된 후보군 또한 7·9급 공채출신에 비해 세무대학 출신이 상대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인적구조상 시일이 걸릴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그럼에도 7·9급 공채출신 세관직원들은 임용출신에 따른 기계적인 배분 보다는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인천공항세관 한 직원은 “여성인력에 대한 승진우대혜택 또한 그러하듯 조직의 화합을 위해선 임용출신별 승진배분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지금처럼 명부만으로 승진인사를 단행해선 안된다”고 주문했다.
한편으론, 행시와 비행시간의 조직내 갈등이 수면 밑으로 흐르는 와중에 임용출신별로 갈등이 증폭될 경우 자칫 조직내 불화가 올 수 있음을 세관가는 우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