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5.23. (금)

뉴스

전경련, ‘산업단지 세제지원 현행유지’ 안행부에 건의

산업단지 경쟁력강화 정책 역행…세제혜택 축소는 투자위축 초래

안행부의 지방세제개편안에 따라 산업단지에 대한 세제감면이 급격히 줄어들 경우 기업들의 지역투자와 지역이전이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단지에 대한 지방세제 개편으로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시행자와 입주기업들의 세부담이 늘어남으로써 투자위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현행 산업단지 조성기업과 입주기업들에게 취득세는 100%, 재산세는 50%를 감면혜택이 부여되고 있지만, 정부 개정안대로 국회에서 통과되면 내년 1월부터는 25%만 감면혜택이 부여된다.

 

이에대해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3일, 산업단지에 대한 세제감면이 급격히 줄어들 경우 기업들의 지역투자와 지역이전이 줄어들 수 있다며, 현재 감면제도를 유지해 줄 것을 안행부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안행부의 지방세 개편안이 확정될 경우 산업단지를 개발하는 기업은 물론 산업단지에 입주하는 중소기업의 부담도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토지를 취득하는 사업시행자는 지방세를 내야 해서 분양가를 올릴 수밖에 없고, 공장 부지를 분양받아 건물을 신1증축하는 기업들도 토지 및 건물 취득세와 재산세가 늘어나 추가 비용을 납부해야 한다는 논리다. 

 

한 기업 관계자는 “산업단지 조성원가는 1.8% 올라가고, 입주기업의 투자비용도 6%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산업단지 미분양 면적(140.8㎢)이 여의도 면적(8.4㎢)의 16.7배에 달하는 상황에서, 산업단지 입주 수요를 더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을 우려했다.

 

전경련은 산업단지 미분양 증가로 인한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클 것이라며, 산업단지는 전국 제조업 생산의 69%, 수출의 81%, 고용의 47%를 담당하는 등 우리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 뿐 아니라,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된 울산·전북·전남 등의 경우 지역 내 총생산을 높이는 데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성일 전경련 금융조세팀장은 “이번 개정안은 정부의 산업단지 경쟁력강화 정책에도 맞지 않고, 세제혜택 축소로 기업들의 지역투자 및 지역이전 유인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며 “최근 주요 기업들이 산업단지 내 대규모 투자계획을 밝히는 등 산업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관련 인센티브가 계속 유지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