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법무부는 탈세를 목적으로 미국인들이 스위스 최대 은행인 UBS에 개설한 계좌의 정보를 입수하기 위해 법원과 국세청 등을 동원, 스위스측을 압박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법무부는 국세청을 통해 UBS측으로부터 이른바 '홍길동' 같은 익명 계좌의 정보를 넘겨받을 수 있도록 연방법원으로 하여금 국세청에 협조명령을 내려줄 것을 요청했다.
법무부는 이를 통해 차명계좌 개설을 통한 탈세용의자에 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UBS 전 직원인 브래들리 버켄펠드가 미국의 부유층 고객들이 탈세하도록 도왔다고 지난달 중순 플로리다 법정에서 자백한 데 따라 이뤄졌다.
버켄펠드는 법정에서 UBS가 미 납세자를 위해 '신고되지 않은' 계좌들을 개설해 적어도 200억 달러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법무부는 밝혔다.
법무부 관계자는 "우리는 프랑스 정부 및 UBS와 협조 중"이라며 "과세를 피하려고 해외 계좌를 사용하는 납세자를 상대로 세금 관련 법을 강화하도록 국세청과 긴밀하게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주 스위스 연방 법무부의 폴코 갈리 대변인은 이번 사건으로 스위스 금융 분야에 대한 국제적 명성이 훼손될 것을 우려해 재무부와 함께 워싱턴을 방문해 미 관료들과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스위스 주간지인 존탁(Sonntag)에 제3국의 당국자가 조사에 출석할 수는 있지만 "스위스 당국을 대신해 자체 조사를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버켄펠드는 제3자와 공모해 2억 달러를 빼돌렸으며, 이중 720만 달러는 미국 세금에 해당한다며 혐의를 인정했다고 미 법무부는 전했다.
그는 2001-2006년 UBS의 프라이빗뱅킹(PB) 부서의 디렉터로 일하면서 재산을 해외로 빼돌리고 싶어하는 부유층 미국인을 종종 만났다고 시인했으며, 이들 고객이 스위스 계좌에 돈을 넣어두고 보석이나 미술품, 사치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재산을 은닉하도록 도왔다고 말했다.
이번 사건에 약 2만여명의 미국 시민이 연루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연합뉴스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