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권역별 시가총액 비중 2%도 안돼
부산·광주·전남·강원 등은 1%도 못 넘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86%가 수도권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각 권역별 지방상장기업의 월말일 평균 시가총액 비중은 2%도 안돼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회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20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7월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기업의 월말일 평균 시가총액 2천430조9천547억원 중 2천96조4천52억원을 수도권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시가총액의 86.2%로, 서울에 43.9%, 경기도에 37.6%가 집중됐다. 반면 수도권 외 지역 시가총액은 335조원에 불과했다.
권역별로 살펴보면, 제주·경남 1.7%, 충북 1.6%, 경북 1.5%, 대전 1.3%, 대구·울산·충남 1%로 1%대에 그쳤다. 특히 부산·전남 0.8%, 전북 0.7%, 강원 0.5%, 광주·세종은 0.2%로 시가총액 1%도 못 미쳤다.
문제는 수도권 집중화가 계속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9년 수도권 상장기업 시가총액은 1조407조1천786억원으로 전체 85.8%로 집계됐다. 2020년 86.5%에서 지난해 85.6%로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 7월까지 다시 86.2%로 상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비수도권 비중은 2019년 14.1%에서 올해 13.7%로 0.4%p 떨어졌다. 같은 기간 대전 상장기업은 0.6%p, 강원도 0.3%p, 전남 0.5%p, 경북 0.5%p 하락했다.
주식시장 월말일 평균 상장 기업수도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019년 수도권 코스피 기업은 569곳, 코스닥은 967곳이었으나 2022년에는 각각 27곳·166곳가 늘어났다. 수도권 코스피 비중은 72.8%로 0.9%p 높아졌으며, 코스닥 상장기업 비중은 2019년 대비 2.7%p 상승한 74%로 나타났다.
김회재 의원은 “지속적인 균형발전 노력에도 불구하고 민간시장 자금 대다수가 수도권 기업으로 쏠리고 있다”며 “수도권 집중화가 지속된다면 지역은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자금 조달에서 어려움을 겪고, 성장 동력조차 상실하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또한 “지역의 경제활력을 위해 수도권에 집중된 대기업들의 지역으로의 이전이 필요하다”며 “지역본사제 법안 발의를 통해 균형발전을 이뤄내고 지역 경제성장을 위한 동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2022년 1월~7월까지의 권역별 시가총액 현황
구분 |
시가총액(억원, %)주) |
|||
코스피·코스닥 전체 |
||||
전체 |
비중 |
전년 대비(증감) |
전년 대비(%) |
|
서울특별시 |
10,661,898 |
43.9% |
151,365 |
101.42 |
부산광역시 |
185,051 |
0.8% |
-23,472 |
87.32 |
대구광역시 |
242,370 |
1% |
37,480 |
115.46 |
인천광역시 |
1,150,839 |
4.7% |
-211,679 |
81.61 |
광주광역시 |
37,610 |
0.2% |
-6,069 |
83.86 |
대전광역시 |
309,919 |
1.3% |
-58,361 |
81.17 |
울산광역시 |
249,524 |
1% |
79,141 |
131.72 |
세종특별자치시 |
44,107 |
0.2% |
477 |
101.08 |
경기도 |
9,151,315 |
37.6% |
-1,197,448 |
86.92 |
강원도 |
123,745 |
0.5% |
-26,302 |
78.74 |
충청북도 |
376,875 |
1.6% |
17,292 |
104.59 |
충청남도 |
243,645 |
1% |
-17,486 |
92.82 |
전라북도 |
165,037 |
0.7% |
1,008 |
100.61 |
전라남도 |
190,721 |
0.8% |
-16,310 |
91.45 |
경상북도 |
354,714 |
1.5% |
-252,258 |
28.88 |
경상남도 |
410,777 |
1.7% |
35,435 |
108.63 |
제주특별자치도 |
411,399 |
1.7% |
-159,667 |
61.19 |
총계 |
24,309,547 |
100% |
-1,646,852 |
93.23 |
주) 월 평균치, 전년 대비 변동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