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11.14. (금)

'국세경력' 세무사시험 합격자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국세경력' 세무사시험 합격자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올해 728명 최종합격, 근래들어 최다…합격률 10.48%로 최저 경력 면제자 총 43명…20년 이상자, 작년보다 6명 늘어 17명 올해 제62회 세무사 2차시험에서 728명이 최종 합격했다. 이는 최소합격인원이 700명으로 상향된 2019년 이후, 공정성 논란이 일었던 2021년(781명)을 제외하면 가장 높은 규모다. 그러나 합격률은 10.48%로, 최근 몇 년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응시자 수가 지난해 5천437명에서 올해 6천943명으로 크게 증가한 것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최근 4년간 2차시험 합격률은 2022년 11.56%, 2023년 11.36%로 2년 연속 11%대를 보이다 지난해 13.15%로 상승했으나, 올해 다시 10.48%로 2.67% 포인트 떨어졌다. 올해 전체 합격자 728명 가운데 경력에 의한 면제자는 43명으로, 최근 3년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경력에 의한 면제자는 2020년 46명(6.47%)에서 공정성 논란이 제기된 2021년 243명(31.1%)으로 급증했다가 이듬해인 2022년 21명(2.97%)까지 쪼그라들었다. 이후 '조정 커트라인'이 적용된 2023년 35명(4.87%), 2024년 41명(5.73%), 올해 43명(5.91%)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이중 20년 이상 국세경력자에 적용되는 '조정 커트라인' 대상 합격자는 17명(2.34%)이다. 2023년 조정 커트라인 적용 이후 2년 연속 11명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다. 논란이 일었던 2021년 제58회 시험 전인 2020년 합격인원 16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1차시험 및 2차 일부과목이 면제되는 20년 이상 국세경력자 합격자 수는 2020년 16명(2.25%)에서 2021년 151명(19.33%)으로 뛰어올랐다가 2022년 7명(0.99%)으로 크게 줄었다. 이후 2023년 11명(1.53%), 2024년 11명(1.54%)으로 2년 연속 머물었다가 올해 소폭 늘었다. 세무사시험은 일반응시자와 10년 이상 국세경력 1차 면제자에게만 최소합격인원을 적용하며, 20년 이상 국세경력자는 별도의 '조정 커트라인'을 적용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2023년부터 일반응시자와 20년 이상 국세경력자를 별도 선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조정 커트라인 점수는 일반응시자의 회계학 2과목 평균점수에서 일반응시자 전과목 평균점수를 나눈 뒤 일반응시자의 커트라인 점수를 곱해 정한다. 한편, 최근 3년간 회계학 1부 과락률은 2023년 36.12%, 2024년 66.21%, 2025년 48.31%를 보였다. 같은 기간 회계학2부 과락률은 45.88%, 78.68%, 65.46%를 기록했다.





배너

프로필

더보기


배너


경제/기업

더보기

Tax&Books

더보기
장상록 안진세무법인 부대표, '부동산개발 세무실무' 개정판 출간
손시영 지수회계법인 대표이사, 김이응·박주열 공인회계사 공저 부동산학 박사와 공인회계사들이 뭉쳐 부동산 개발단계별로 세무실무를 종합적으로 다룬 실무 서 개정판을 펴냈다. 장상록 안진세무법인 부대표(법학·경영학·부동산학 박사), 손시영 지수회계법인 대표이사, 김이응·박주열 지수회계법인 공인회계사가 공저한 ‘부동산개발세무실무(도서출판 탐진)’ 개정판이 지난 4일 발간됐다. 이 책은 기존 실무서들이 부동산 개발과 관련해 국세·지방세를 단편적으로 다루거나, 그 내용이 지나치게 실무적인 내용, 지엽적인 예규 등을 다룬데 대해 한계를 느끼고 독자들이 전체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저자들은 부동산 개발과정에서 조세리스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각종 부담금에 대한 쟁점이 많은 점을 고려해 단계별로 풀어냈다. 책은 △부동산 취득할 경우 부담해야 하는 조세 △부동산 보유시 부담해야 하는 조세 △부동산 양도시 부담해야 할 조세 △개발 진행 중 또는 개발 완료 후 부담해야 하는 각종 부담금 등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됐다. 제1편에서는 부동산 취득시 취득세와 농어촌특별세에 관한 해석사례와 조세심판원 결정사례, 법원 판결을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제2편에


학회

더보기
한국지방세학회, 14일 학술대회…지방세제 개편·불복제도 논의
한국지방세학회(학회장·서보국)는 오는 14일 한국세무사회 6층 대강당에서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방세제 개편', '재산세 공동과세제도', '지방세 불복제도' 등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총 3개 세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학술대회는 신중렬 한국지방세학회 고문의 개회사와 구재이 한국세무사회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3개 세션이 이어진다. 첫번째 세션은 이한우 화우세무법인 세무사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방세제 개편 및 재정학충 방안'을 발제하며, 김병규 법무법인 세종 고문(전 세제실장)이 좌장을 맡고 장보원 한국세무사고시회장, 전병욱 서울시립대 교수가 토론에 참여한다. 두번째 세션은 임상수 조선대 교수가 '서울시 재산세 공동과세제도에 대한 연구'를 발제한다. 박상수 한국지방세연구원 지방세정연구센터장이 좌장을 맡고 허형조 건국대 교수와 주윤창 인천광역시의회 정책지원관이 심도있는 토론을 펼칠 예정이다. 마지막 세션 '지방세불복제도 운용현황 및 개선방안'은 김진태·배수진 중앙대 교수가 공동 발제한다. 유철형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를 좌장으로 하여 차상권 남서울대 교수, 윤현준 한국지방세연구원 전문위원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세션 종료 후에는 김진태


삼/면/경

더보기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