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통신부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과 공동으로 1천여개의 중소기업을 직접 방문, 무료로 정보 보안의 취약점 점검과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한 중소기업들이 무상으로 전용백신 및 보안패치파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이버 방역서비스센터를 구축·운영하고, 정보 보호설비 구입 및 시설개체비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정보통신부는 최근 자금여력이 없고 전문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정보 보호수준을 높여 보다 안전한 디지털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중소기업 정보 보호 종합대책'을 마련, 발표했다.
이번에 정통부가 발표한 중소기업 정보 보호 종합대책은 ▶추진체계 정비 ▶취약점 점검 및 지원 강화 ▶교육 활성화 ▶실태조사 및 지표 개발 ▶정보 보호 문화운동 확산 등 5개 분야에 대한 세부 추진계획을 포함하고 있다.
정통부는 중소기업이 정보 보호 설비에 투자할 경우에는 업체당 최대 30억원내에서 소요자금의 90%까지 융자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세액공제(투자금액의 3%)제도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하고, KT·데이콤 등 주요 ISP로 하여금 고가의 정보 보호제품에 대한 렌탈서비스도 활성화 할 방침이다.
또한 관련업계 및 학계 등과 '중소기업 정보 보호 추진 협의체'를 구성,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각종 정책제안을 수렴키로 했다.
이밖에 중소기업이 새로운 보안 위험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대한상공회의소 등 유관기관의 홈페이지, 메일링리스트(Sec-Info) 및 시큐어메신저 보급 확대 등을 통해 해킹·바이러스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