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5.09.06. (토)

내국세

통합소득 상위 0.1% 年 15억원 번다…중위소득자 대비 60배

상위 0.1% 초고소득층이 연간 통합소득 36조6천239억원을 거둬 1인당 평균 소득액은 15억1천658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분석한 국세청의 ‘2019년 귀속 통합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을 합한 통합소득은 873조4천329억원으로 전년대비 5.98% 증가했다.

 

이 중 소득 상위 0.1% 구간에 해당하는 초고소득층은 2만4천149명이 36조6천239억원, 상위 1%는 24만1천494명이 98조159억원을 거둬들인 것으로 집계됐다.

 

1인당 평균 소득액은 15억1천658만원(상위 0.1%), 4억587만원(1%)을 거둔 셈이다.

 

상위 0.1% 구간의 소득 증가율은 2017~2019년 17.93%→3.21%→7.08%로 변화했다. 같은 기간 상위 1%의 소득 증가율은 11.44%→4.88%→6.45%다.

 

상위 10%는 연간 총 319조4천50억원(1인당 평균 1억3천95만원), 중위(상위 50%) 소득자는 1인당 평균 2천508만원을 벌었다.

 

상위 0.1%와 중위 소득자의 통합소득 격차는 2017년 64.1배에서 2019년 60배로 일부 완화됐으나 여전히 60배 가량 차이다. 근로소득은 27배, 종합소득은 236배 격차다.

 

소득별 0.1%가 전체 소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배당소득(47%), 이자소득(17.43%), 종합소득(9.56%), 사업소득(8%), 임대소득(4.89%), 통합소득(4.19%), 근로소득(2.05%) 순으로 나타났다.

 

통합소득 하위 50%(상위 51~100%)의 경우 총 143조7천177억원(1인당 평균 119만원)을 벌어 전체 소득액의 16.45%를 차지했다.

 

 

양 의원은 “자산소득 격차가 소득 불평등의 가장 큰 축임을 나타내는 수치”라며 “근로소득 양극화가 개선돼도 자산소득 격차가 심화하면 소득 불평등이 악화되기 때문에 과세형평성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2019년 귀속 통합소득, 근로소득, 종합소득의 천분위 구간별 추이를 비교하면 이자·배당소득 등 금융소득의 상위계층 쏠림현상이 심각하다”며 “자산 양극화를 개선하고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