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4.20. (토)

경제/기업

미·중 무역분쟁 반사이익?...부산 제조업 수출 오히려 늘어

부산상의 보고서…20개 품목 수출실적, 무역전환효과로 뚜렷한 증가세
보호무역 강화·세계경제 둔화 대비 기업별·업종별 장기 대응전략 필요

미·중 무역분쟁의 반사이익으로 부산지역 제조업의 주요 품목 수출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허용도)는 5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와 공동으로 ‘미․중 무역 분쟁이 부산 제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무역통계를 활용한 실증분석과 더불어 부산지역 수출 제조기업 300개사의 실태조사도 병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 차례에 이르는 미국의 대중(對中) 제재기간 동안 부산의 미국 수출 상위 20개 품목 중 다른 외부요인의 효과가 큰 1위 품목인 자동차를 제외한 19개 품목의 수출실적은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개 품목이 부산의 전체 대미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5%선이었고 이 중 3개 품목을 제외한 17개 품목이 대중 제재품목에 해당된다.

 

이들 품목의 대미수출은 대중 제재가 시작된 지난 2018년 7월 이후인 2018년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24.6% 증가했으며, 2018년 4분기에는 46.1%, 2019년 1분기 39.3%, 2019년 2분기 15.7%로 각각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미국시장에서 대중 제재로 인해 부산의 대미 수출품목이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을 회복하는 무역전환효과를 본 것으로 풀이했다. 부산의 대미수출 품목 중 85%(2018년 기준)는 미국시장에서 중국 제품과 경쟁하고 있다.

 

 

한편 부산의 대중 수출 상위 20개 품목의 수출 실적도 같은 기간 동안 뚜렷한 증가세를 보였다. 2018년 3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했으나 이후 4분기에는 7.3% 증가했으며, 2019년 1분기에는 82.4%, 2분기에는 62.7%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대중 수출 상위 20개 품목 중 3개 품목을 제외한 17개 품목이 미국의 대중 제재품목에 해당됨에도 불구하고, 대중 수출이 증가했다는 것은 부산에서 중국으로 수출되는 자본재나 중간재가 중국을 경유해 완제품화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보고서는 부산의 미국·중국 수출 상위 20개 품목의 수출실적을 보면 미·중 무역 분쟁이 최소한 단기적으로는 지역경제에 실보다는 득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지역의 수출 제조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에서도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해 직접적 악영향을 우려한 기업은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 업체의 79.3%가 미·중 무역 분쟁의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반면, ‘부정적이다’고 응답한 비율은 19.4%에 그쳤다.

 

다만, 거시적 관점에서는 미·중 무역 분쟁을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가 많았다. 미·중 무역 분쟁의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 업체의 70.3%, 한국경제에 대해서는 67.0%, 부산경제에 대해서는 61.3%가 각각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미·중 무역 분쟁의 기업에 대한 영향 역시도 이처럼 직접적 영향보다는 분쟁으로 인한 세계경제 둔화와 같은 간접적 영향을 대부분 우려했다. 미·중 무역 분쟁으로 인한 손실 원인을 물은 결과, 응답 업체의 89%가 세계경기 둔화를 원인으로 지적한 반면, 중국 수출 감소, 미국 수출 감소를 원인으로 지적한 기업은 각각 6.7%, 2.7%에 불과했다.

 

또한 이런 간접적 영향의 피해 우려로 인해 미·중무역 분쟁에 대한 기업 차원의 대응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조사응답 업체의 95%가 ‘관련 대책이 없다’고 응답해 지역 제조업 대부분이 미·중 무역 분쟁에 대한 실질적 대응 전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미·중 무역 분쟁이 지역의 수출 제조업체에 단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측면보다는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보호무역 강화, 세계경제 둔화 등의 악영향이 기업경기 침체로 확대될 수 있는 만큼, 기업별·업종별로 장기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정책적인 측면에서는 기업이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외 수요선 다변화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