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상임이사의 우리나라 배정분이 올해부터 대폭 늘었다.
오는 11월 임명되는 이 자리에는 이희수 기획재정부 세제실장이 내정됐다.
18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IMF 상임이사 쿼터를 늘리기 위해 지난 수년간 노력해왔으며 최근 이런 노력이 결실을 맺어 올해 11월부터는 우리나라가 2년마다 돌아오는 임기마다 상임이사나 이사대리를 맡을 수 있게됐다.
지금까지는 8년에 한차례, 즉 이사 임기가 4번 돌아올 때 한 번을 우리나라가 할 수 있었다.
재정부 관계자는 "IMF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우리나라가 출자금을 계속 늘려왔고 지난 2006년에 이어 올해 4월에도 지분을 확대하면서 이에 걸맞은 이사배분을 요구해 관철했다"면서 "앞으로는 매년 상임이사나 이사대리를 한자리씩 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MF는 185개 회원국이 있으나 이사는 24명만 두고 있으며 미국, 영국, 일본, 독일 등 8개 선진국은 한 나라에서 이사 한명씩을 파견하고 있고 나머지 나라들은 여러 나라를 묶어 이사를 한 명씩 두고 있다.
우리나라는 호주와 뉴질랜드, 필리핀 외에 아프리카 등의 소규모 10개국이 포함된 그룹에 속해 있으며 그동안은 지분이 가장 많은 호주가 4번 임기가 돌아올 때 두 번을, 우리나라와 뉴질랜드가 각 한 번을 파견할 수 있었다.
이사배정이 늘어난 뒤 처음 임명되는 올해 11월 인사에서는 이희수 재정부 세제실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정부 관계자는 "지난 2004년 처음 우리나라가 이사를 맡았을 때에는 오종남 전 통계청장(당시 1급)이 나간 적이 있다"면서 "IMF는 각국의 구제금융 긴급지원은 물론이고 국부펀드에 대한 투명성 제고나 운용방안 권고 등 주요사안을 모두 이사회에서 논의하고 결정하기 때문에 상임이사는 매우 중요한 자리"라고 말했다.(연합뉴스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