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첨, 시방서, 독거노인, 법면, 적의조치, 징구, 복명서와 같이 어렵고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던 행정용어가 쉬운 우리말로 바뀐다.
서울시는 그동안 행정 일선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일본식, 한자식, 영어식 표기 등 시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웠던 행정용어를 시민 및 직원 의견수렴, 시 공무원 동아리 연구 활동 등을 통해 개선방안을 마련해 이를 공문서, 간행물, 보도자료, 행정표지판, 법령 등에 적용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2월 20일 행정용어를 바꾸기 위해 ‘행정용어 개선위원회(이하 개선위원회)’를 개최하고, 행정용어 개선대상 26건을 선정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김원석 평화신문 전무이사(위원장), 김한빛나리 한글학회 연구원, 박용찬 국립국어원 국어정책팀장 등이 참석한 이날 개선위원회에서는 28개에 이르는 어렵고 생소한 행정용어를 개선 대상에 올려, 이를 대체하는 쉽고 편리한 행정용어를 채택, 적용할 것을 결정했다.
개선위원회에서 개선 결정된 행정용어는 한글자동변환 프로그램용 DB로 구축돼 서울시 직원들이 공문서 등을 작성할 때 자동으로 바뀌어 사용되도록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전 직원 PC에 변환 DB를 다운로드 설치토록 해 공문서 등에서 개선용어로 자동적으로 바꾸도록 하고, 분기별로 사용 실태를 점검하여 쉽고 편리한 행정용어를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 행정서식 용어, 각종 표지판·알림판 글, 법령 조문, 행정전문용어 등 중점 개선대상 분야별 개선안을 분기별로 선정하여 계속 개선해 나아가고, 아울러 인터넷 등 각종 시민참여 창구를 통하여 서울시민들의 참여도 적극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선위원회에서는 3월까지 동사무소 등·초본신청 등 민원서식, 공공시설 설명문․표지판 등을 전수 조사하여 4월 중 인터넷 등을 통해 시민의견수렴을 거친 후 5월 21일(수) 제2차 개선위원회를 개최하여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접하는 용어를 쉽고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대폭 개선하기로 의결했다.
김원석 위원장은 “그동안 시민들이 불편을 느끼던 행정용어에 대한 개선은 시민중심 행정이라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앞으로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불편을 느끼는 분야를 집중 선정하여 행정용어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래는 개선 행정용어 26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