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추진위원회 정보화사업 자료에 의하면 건설교통부가 320억원을 투입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정보화 환경특성을 고려한 시스템 구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이번 시스템구축으로 인해서 건설교통부는 토지에 대한 조세체납관리가 간편해지고 지역경제, 교통‧관광, 도시건설 등에 관련정보를 제공으로 시스템 개발을 촉진시키게 될것이라고 했다.
이번 토지종합정보망은 기존에 토지정책수립에 필요한 정보가 중앙부처(15개 부처, 청) 및 지자체에 산재되어 있어 신속‧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특히, 80여개 법령에 의해 지정・관리되는 180여개의 용도지역‧지구 현황을 파악하기 어렵거나 자료를 중복관리하는 등 행정 낭비가 발생함에 따라 구축을 계획하게 된것.
또한, 자료의 비효율적인 관리로 용도지역・지구간 상충문제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토지와 관련한 각종 공간‧속성‧법률자료 등을 체계적으로 통합‧관리할 수 있는 전국 표준의 종합적 정보체계 구축이 필요성이 대두된것이다.
건설교통부는 시스템구축을 위해 2005년까지 전국 지자체에 토지종합정보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행정자치부, 지자체 등 관련기관과 지속적인 협의 수행하고 기존 전산자원을 공동활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시스템구축이후에는 토지관련 민원서비스의 획기적 개선되어 토지관련 민원을 언제, 어디서나(토지이용계획확인서, 공시지가확인서 등) 발급이 가능해진다.
이는 민원서류를 발급받기 위해 해당관청을 방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비용 및 교통비용 절감등 전국 기준으로 연간 970억원 절감될것이라고 한다.
또한 민원발급시간 단축으로 기존 수작업체계에서는 민원을 발급하는데 약 8분에서 10분이 소요되었으나, 토지종합정보망을 활용시 3분 이내 발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밖에 민원의 처리절차가 간소화되고 첨부서류가 대폭 축소됨에 따라 연간 68억원이 절감될것이라고 한다.
한편 이번 시스템구축은 기존의 KLIS(한국토지정보시스템) 및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의 전국 확산과 더불어 부동산가격 안정화를 통한 부동산투기억제 및 부동산조세부담의 형평성 확보를 위하여 부동산실거래가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연계된다는 것이다.
인터넷 뉴스매체팀
web@taxtimes.co.kr
web@tax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