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세무사회가 국세청 고위직 출신들을 대거 고문(顧問)에 위촉했다.
한국세무사회는 지난주 전체이사회에서 김성호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김정복 전 국가보훈처장, 정상명 전 검찰총장을 회(會)고문으로 위촉했다고 한다.
현재 세무사회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는 장관출신 인사는 이용섭 전 건교부 장관, 박명재 전 행자부 장관, 추경석 전 건교부 장관, 서영택 전 건교부 장관, 안정남 전 건교부 장관, 이건춘 전 건교부 장관, 이용만 전 재무부 장관, 김성호 전 보건복지부 장관, 김정복 전 국가보훈처장 등 모두 9명에 이른다. 세무사회로서는 든든한 우군을 확보한 셈이다.
지금까지 고위직 출신들이 세무사회에 참여하는 것에 별반 관심이 없었던 현상에 비하면 세무대리업계의 새로운 변화가 아닌가 싶다.
이처럼 전직 장관 등 정부요직을 지낸 사람들이 세무사회의 고문으로 위촉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선 변호사·회계사 등 타 자격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힘의 빈약을 느끼고 있는 엄연한 현실과 현재로서는 힘을 키울만한 뾰족한 대안이 나오지 않고 있는 시점에서 고위직을 지낸 인사들의 회 참여는 세무사계 입장에서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수차에 걸쳐 세무사들의 위상과 직결될 세무사법 개정안이 국회통과직전에 무산된 것도 따지고 보면 반대편의 힘에 밀린 것이 주원인이다.
마침내 18대 총선에서 조용근 회장 등이 국회 진출을 꾀했지만 그것 또한 여의치 않았다.
결국 전직 고위직을 고문으로 위촉해 위상 제고의 돌파구를 찾아보자는 의도로 보이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설득력있는 발상이라고 여겨진다.
다만 고위직 출신 고문들이 제대로 역할을 해줄 것이냐 하는 것이 문제다. 단지 이름만 걸어 놓는 식의 고문이라면 안하느니만 못하다.
위촉된 고문들은 역량을 두루 갖춘 명망가들로 정평나 있다. 이들이 얼마만큼 진정성있는 활동을 해주느냐에 세무사 위상제고의 한축이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