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 931억원 투입…오픈소스 클라우드 기반 환경 구축
인천공항·부산신항 스마트 물류 인프라 구축
정부가 기업과 국민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통관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7개 분야 국가관세종합정보망 시스템을 전면 교체한다.
정부는 9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물류 경쟁력 강화 및 첨단산업 수출지원을 위한 통관물류 규제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국가관세종합정보망은 60만개 기업·국민 2천만명이 이용하는 전자통관시스템으로 24시간 365일 운영되는 무역물류 핵심 인프라다.
그러나 지난 2015년 도입된 전산장비의 노후화 및 단종으로 폭증하는 전자상거래 무역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활한 통관물류서비스 제공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2025년 5월까지 국가관세종합정보망 전면 개편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관세청은 지난 6월28일 사업계약 착수보고회를 가졌는데, 사업비는 931억원 규모이며 사업자는 삼성SDS 컨소시엄이다.
통관물류·징수·무역통계·인터넷 포털·모바일서비스·유관기관 포털 등 37개 전자통관시스템 인프라를 전면 교체하고, 신기술을 수용할 수 있는 유연한 업무시스템을 위해 오픈소스 클라우드 기반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한 현재 인천공항, 부산신항 등 신 디지털 물류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세관 신고데이터 위주 관리에서 신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화물관리가 이뤄지도록 인프라 설계 단계부터 협업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실시간 물류 데이터를 항공사⋅선사⋅터미널과 공유해 출입차량과 화물위치정보에 맞게 세관 검사 장소와 장비를 설치하고, 실제 화물 흐름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가 입수되면 반출입 신고⋅적재화물목록 제출 등 절차를 간소화하기로 했다.
관세청은 국가관세종합정보망을 10년 만에 전면 개편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전자상거래 급증 등 급변하는 물류환경에 대응 능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