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한국관세사회, 공익관세사 40명 위촉
해외로 수출하는 국내 거래처와 납품 계약을 앞둔 A사.
국내 거래처로부터 인증수출자 취득에 대한 권유를 받았으나, 평소 수출이나 자유무역협정 활용 경험이 없어 어려움에 처했다. 그런데 우연히 인천세관의 공익관세사 지원활동을 접한 후 도움을 요청했고, 공익관세사로부터 품목분류부터 인증수출자 서류작성 방법까지 상세한 상담을 받아 인증수출자를 취득할 수 있었다.
A사 대표는 “정말 막막했는데 인천세관의 도움을 받아 인증수출자를 취득해 국내 거래처와 계약을 잘 성사시켰으며, 이를 발판 삼아 직접 수출 판로도 개척 중”이라고 전했다.
유아 의류를 수출하는 B사는 인도로 신규 수출을 준비하고 있었으나 원산지증명서 발급이라는 생소한 업무에 맞닥뜨리게 됐다.
그러다 서울세관에서 공익관세사 제도를 운영한다는 사실을 알게 돼 원산지 결정기준부터 원산지증명서 발급까지 공익관세사의 도움을 받아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을 활용해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게 됐다.
B사 대표는 “새롭게 자유무역협정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이 있었는데, 공익관세사 제도를 통해 자유무역협정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감사를 표했다.
전문가의 조력을 받기 어려운 영세·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관세와 무역 분야에서 무료로 종합 상담을 제공해 온 공익관세사가 올해 새롭게 위촉됐다.
관세청은 영세·중소기업의 맞춤형 수출 지원을 위해 한국관세사회와 협업으로 올해 공익관세사 40명을 위촉·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공익관세사 제도는 지난 2015년 발족해 올해로 8년째를 맞고 있으며, 작년까지 총 3천여 기업 및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특혜관세 안내, 원산지증명서 발급, 인증수출자 취득 등 자유무역협정 활용 뿐만 아니라 품목분류, 관세환급 등의 상담을 제공해 왔다.
올해 위촉된 40명의 공익관세사는 인천·서울·부산·대구·광주·평택 등 전국 15개 본부 및 지역세관에 배치돼 세관직원과 함께 기업현장을 방문하거나 전화상담 등을 통해 기업지원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오현진 자유무역협정집행과장은 “영세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이 공익관세사의 도움으로 원산지검증에 대비하고 자유무역협정을 적극 활용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