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는 선거운동이 본격화되자 세제정책 등 각 당의 선거공약을 일제히 발표하고 유권자 표심을 잡기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특히 변칙상속·증여를 통한 富의 대물림을 차단하기 위해 고액자산가의 개인별 재산관리전산망 구축, 전자상거래 등 유통혁명에 대비한 부가세 대폭인하, 향후 5년간 매년 1%씩 부가가치세율 인하 등 4·13총선에서의 다수 의석 확보를 위한 4당간 세제분야 정책 경쟁도 치열하다.
민주당은 변칙상속·증여를 통한 부당한 부의 대물림을 차단하기 위해 금융재산 일괄조회 및 부과제척기간활용 등 과세추적 강화를 공약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세제지원강화 및 水稅폐지, 소주세율 인하, 한국은행 잉여금 세입반환 등의 실현을 발표했다.
민주국민당도 부가가치세 세율을 향후 5년간 매년 1%씩 5%를 인하하고 재산세 중심의 현행 지방세제를 개혁해 중앙과 지방이 균형있게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겠다고 공약하고 있다.
그러나 與·野 4당의 稅制부문 공약은 여타 분야와 마찬가지로 과거 어느 선거보다 장미빛으로 가득 차 있거나 이미 시행중인 것을 그대로 베낀 것도 상당수에 달해 벌써부터 아예 실현의지가 없거나 무성의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이를 제대로 실현하려면 엄청난 재정수요가 발생해 균형재정을 이룩하겠다는 공약과 배치되는 등 이번 선거도 정치권의 구태가 재연되고 있다는 비판도 받고 있어 선거이후 이의 실천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