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진흥개발사건에 전격 투입된 특별조사반은 총 5개반 35명외에도 본청 조사국 조사요원 15명이 추가파견된 총 50명이었다.
그만큼 국세청 수뇌부로서도 명성사건 못지않게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정권에 부담을 주고 사채시장을 비롯한 자본시장의 경색 등 경제에 주름살을 만든 영동진흥개발사건 처리에 고심한 반증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영동진흥개발사건을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할 경우, 제2·3의 영동진흥개발사건이 계속 발생해 그동안 강력한 안정정책 추진으로 제자리를 찾아가는 경제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다는 통치권 차원의 결정이었다고도 볼 수 있다.
1·2·3·4·5반으로 구성된 특별조사반은 1반장이 서울청 조사관리과장과 조사국장에게 조사진행상황을 수시로 보고하고 상부의 지시를 하달하는 총괄업무를 담당했으며 나머지 2·3·4·5반은 조흥은행 및 시중은행 문서보관소에 나가 당시로서는 최고로 발달한 조사기법인 금융추적조사에 전력을 집중했다.
특별조사반의 직제가 서울청 조사관리과장과 서울청 조사국장, 서울청장의 통제를 받는 것으로 돼 있었지만 그들의 활동 일거수 일투족은 본청 조사국장을 경유해 본청장에게 직보됐다고 한 조사반장은 설명했다.
“특별조사반원에게는 공휴일 국경일은 물론, 남들이 다 가는 휴가나 연가도 없었습니다. 거의 매일이다시피 새벽에 별을 보고 나와 자정무렵에 귀가하는 게 보통이었지요. 그러다 보니 유독 당신만 세무공무원 하느냐, 혹은 딴집살림 차린 것 아니냐며 집사람에게 꽤나 들볶였고 아이들에게도 아빠 얼굴 한번 보기 힘들다는 불만스런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당시 특별조사반에 소속돼 영동진흥개발사건에 참여했던 S某씨(세무사)는 이렇게 회고했다.
K某씨(세무사)는 “어떤 조사반원은 부모의 기일이나 가족행사가 있어도 당시 너무나 열심히 일하는 조사반의 분위기 때문에 차마 말을 못 하고 조사에 임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을 만큼 조사반원의 사기나 긍지는 대단했었다”고 증언했다.
“영동진흥개발사건이 있은 지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당시 같이 활동했던 조사반원들과는 가끔 만나 소주잔을 기울이곤 하며 세무공무원생활을 하면서 꽤 많은 모임이 있었지만 그 당시가 가장 보람 있고 자랑스런 시절이었다”고 반장출신의 한 세무사는 설명했다.
'83.7.1 종로세무서 강당에서 발족할 당시 특별조사반 총 인원수는 서울청 5개반 35명, 부산청 1개반 6명, 중부청 조사담당관 1명이었다.
반장인 사무관을 포함해 6명으로 구성된 특조반원은 거의 모두가 연합조사반 상설조사반 직세국 조사관실 근무경력자들로 선발돼 말 그대로 조사국의 정예요원이었다.
안무혁 청장이 특별조사반을 창설한 것은 80년대에 들어서면서 70년대초부터 지속된 고도성장과정에서 파생된 지하경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를 해결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계층간 세부담 불공평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청장의 의중을 반영하듯 본청 조사국장도 발족식에 직접 참석, “사회의 병폐를 척결해 선진세정을 이룩하는 데 특별조사반이 선봉에 서 달라”고 당부했다.
이렇듯 특별조사반에 대한 청장을 비롯한 수뇌부의 관심은 역대 어느 조사반보다 각별했다.
그런 까닭에 국세청내에서 어느 누구도 특별조사반이 어디에서 무엇을 하는지 알려고 하지도 않았고 또한 그들의 활동과 관련한 조사를 잘 봐 달라고 부탁하지도 않았다는 게 당시 반장출신의 한 사무관의 증언이다.
이같은 고된 여건속에서도 나름대로 樂이 있었다면 1주일에 한 번씩 본청 조사국장이 직접 건네주는 두툼한 금일봉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