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 국가유공자가 눈감으시는 마지막 순간까지 최고의 예우를 다하겠습니다 
    
 | 
  
보훈처,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계 
 |    
 | 3,623 
 | 3,623 
 | 순증 
 | 
| 국립묘지 의전단 운영 
 | - 
 | 1,957 
 | 1,957 
 | 순증 
 | 
| 대통령 명의 근조기 구입 
 | - 
 | 140 
 | 140 
 | 순증 
 | 
| 영구용 태극기 인편배달 
 | - 
 | 360 
 | 360 
 | 순증 
 | 
| 생계곤란 국가유공자 장례 지원 
 | - 
 | 1,166 
 | 1,166 
 | 순증 
 | 
  
□ 사업개요
  
ㅇ 국립묘지 의전단 신설, 국가유공자 사망시 대통령명의 근조기 지원 및 영구용 태극기 인편 전달, 생계 곤란 국가유공자 장례비 지원
  
□ 지원내용
  
ㅇ 국립묘지 의전단 증원 및 신설
  
- 대전현충원 의전단 증원(30명→35명) 및 국립호국원 3개소 의전단 각 17명씩 증원(총 51명)
  
ㅇ 국가유공자 사망시 대통령 명의 근조기 증정 및 영구용 태극기 직접 전달
  
ㅇ 생계곤란 국가유공자 사망시 2백만원의 장례비 지원
  
□ 기대효과
  
ㅇ 국가유공자 사망시 명예선양 및 유족의 자긍심 고취
| 2 
 |    
 | 한국판 아난딸로(아동·청소년 예술교육센터) 본격 시작 
 | 
  
문화체육관광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유휴공간 활용 문화예술교육 센터 지원 
 | - 
 | 6,000 
 | 6,0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공간 조성 및 아동·청소년 대상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모델 구축
| <판란드 아난딸로 사례> 
 ‣헬싱키 시에서 운영하는 아동청소년을 위한 예술교육센터로 1886년 세워진 폐초등학교 건물을 1987년 예술교육센터로 개조 
    
 ‣아동청소년 대상 예술교육 프로그램, 가족대상 프로그램, 어린이집 및 초중등학교와의 긴밀한 협력 하에 학교 정규과정 혹은 방과 후 예술활동 관련 프로그램을 제공 
 - 2×5교육프로그램 : 초등학생을 대상, 일주일에 2시간씩 5주동안 예술교육 실시 
 | 
  
□ 사업내용
  
ㅇ 지역 생활권 단위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문화예술교육 공간 조성하고, 아동 등 대상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 (공간 조성) 유휴공간, 창작공간 등을 활용하여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공간 조성(거점형 1개소, 밀착형 3개소)
  
-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아동·청소년 대상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모델 구축, 생활권(기초) 단위 학교 및 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 기대효과
  
ㅇ 일상 생활권내 문화예술교육공간 조성으로 생애주기별 문화예술 교육 확대 및 창의적 문화역량 강화
| 3 
 |    
 | 도시, 문화로 다시 태어나다 
 | 
  
문화체육관광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문화적 도시재생 
 | - 
 | 4,500 
 | 4,5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지역의 문화적 개성과 고유성, 특수성이 기반이 된 도시재생을 지원하고 지역 문화 활성화 추진
  
□ 사업내용
  
ㅇ (도시문화 기록 및 활용) 도시의 역사, 시민의 삶과 기억을 기록함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찾고 도시재생이 지역 공동체의 회복과 재생의 밑바탕이 되도록 지원
  
ㅇ (문화재생 커넥터 활동 프로그램 지원) 문화적 도시재생 매개인력인 ‘문화재생 커넥터’를 선정하여 도시재생지역에 파견하고, 문화재생 컨설팅과 마중물 프로젝트 수행 지원
  
□ 기대효과
  
ㅇ 문화적 도시재생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지역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 제고에 기여
  
ㅇ 국토부 도시재생사업과 정책적 연계를 통해 도시 재생사업 효과 증대 및 추진 효율화 유도
| 4 
 |    
 | 예술동아리 교육지원을 통해 시민이 예술가로 거듭납니다 
 | 
  
문화체육관광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예술동아리 교육지원 
 | - 
 | 1,500 
 | 1,5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아마추어 예술동아리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지원하여, 예술동아리의 역량을 강화하고, 활성화 도모
* 동아리활동에 필요한 지원 : 교육비 등 경비지원(38.2%), 전용공간 지원(36.0%) 순(「동호회 활동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관광연구원)
  
□ 지원내용
  
ㅇ (기본교육) 지역 문화예술인, 예술교육자를 예술동아리에 파견하여 교육프로그램 운영
  
ㅇ (마스터클래스) 지역 문화예술계 명사·전문가를 초빙, 원포인트 레슨 등을 통한 동아리 역량강화 및 활동의지 제고
  
ㅇ (코디네이터) 동아리 간 교류 지원, 활동상황 모니터링 등 운영전반에 대한 컨설턴트, 매개자 역할하는 코디네이터 지원
  
□ 기대효과
  
ㅇ 시민의 자발적 예술활동 활성화 및 예술적 역량 강화
  
ㅇ 지역의 예술적 저변확대를 통해 장기적으로 문화예술 관련 수요 확대 및 시장 활성화
| 5 
 |    
 | 2018, 책을 펼치면 더 큰 대한민국이 펼쳐집니다 
 | 
  
문화체육관광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2018 책의 해 개최 
 | - 
 | 1,500 
 | 1,5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2018 책의 해’ 지정 및 각종 행사(개최식, 캠페인, 여행지 연계, 광고 및 프로그램 제작, 연령대별 독서 운동 등) 개최
  
□ 지원내용
  
ㅇ VIP 초청 ‘책의 해’ 선포식 및 연중 캠페인 개최
  
- 2018년을 책의 해로 지정하고, VIP 초청 행사 및 연중 캠페인을 통해 독서 장려 분위기를 조성
  
ㅇ 관광지 연계 북콘서트 개최 및 연령대별 독서문화 운동 개시
  
- 테마, 주제, 배경 등 책과 국내 지역을 연계한 북콘서트를 개최하고, 청소년·노년층을 위한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 추진
  
□ 기대효과
  
ㅇ 책 읽는 분위기 형성을 통해 침체된 출판업계 매출 증대 및 고용 창출 등 내수 경제 활성화
  
ㅇ 국민의 정서적 공감대 형성을 통한 사회 통합 및 4차 산업혁명시대를 대비하는 인문학 인재 양성
| 6 
 |    
 | 구속수사 단계부터 공판단계까지 동일한 국선변호인에게 변호를 받게 됩니다 
 | 
  
대법원,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구속사건 논스톱 국선변호제도 
 | - 
 | 2,703 
 | 2,703 
 | 순증 
 | 
  
□ 사업개요
  
ㅇ ‘구속상태의 수사단계에서부터 공판단계까지 동일한 국선변호인에게 무료 변론을 받는 제도’를 전면 시행*하고, 매년 하반기 ‘올해의 국선변호인’ 선정
  
* 현재는 영장발부 후 검사의 공소제기 전까지 국선변호 활동 미실시
  
* 5개 법원 시범사업(‘16.10~‘17.1월) 실시, ’18년부터 전체 법원으로 확대 시행
  
□ 사업내용
  
ㅇ 영장실질심사단계에서 선정된 국선변호인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수사 및 공판단계까지 변호활동을 계속
  
- 영장발부 후 기소 전 피의자 접견, 가족상담, 유리한 증거 수집, 수사단계 의견서 제출, 경찰‧검찰 피의자신문 참여
  
ㅇ 매년 하반기 ‘올해의 국선변호인’을 선정․포상*
  
- 인센티브 부여를 통한 국선변호의 질적 수준 제고
  
* 5개 고등법원(서울, 대전, 대구, 부산, 광주)별 각 2명 선발
  
□ 기대효과
  
ㅇ ‘생계형 범죄’를 저지른 저소득층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실질적인 변호인 조력권 보장
  
ㅇ 열정을 가진 청년변호인들에게 변호 기회
| 7 
 |    
 | 청년 수급자, 자산형성 통한 자립 희망을 키우세요 
 | 
  
보건복지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청년희망키움통장 
 | - 
 | 11,039 
 | 11,039 
 | 순증 
 | 
| 생계급여(청년희망키움공제) 
 | - 
 | 3,680 
 | 3,68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일하는 생계급여 수급 청년에 대한 자산형성 지원
  
□ 사업내용
  
ㅇ 일하는 생계수급 청년*이 ‘청년희망키움통장’에 가입한 경우, 근로·사업소득 중 10만원을 생계급여 소득 반영에서 공제
  
* 근로ㆍ사업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인 사람
  
- 공제된 10만원을 ‘청년희망키움통장’에 자동 적립하고, 월 평균 30만원을 추가 매칭하여 매월 평균 40만원씩 저축
  
☛ 3년 이내 탈수급하면 평균 1,500만원 목돈 마련
  
| <청년희망키움 통장 지원 개념도> 
    
 | |||||
| 생계급여 
 |    
 | [청년희망키움통장] 
 | |||
|    
 |    
 |    
 |    
 |    
 | |
| 10만원 공제 
 | ⇨ 
 |    
 | 10만원 기여 
 |    
 | |
| 근로·사업 
 소득 
 |    
 |    
 | + 
 |    
 | |
|    
 |    
 | ||||
|    
 |    
 | 평균 30만원 지원 
 |    
 | ||
| 기타소득 
 |    
 |    
 |    
 | ||
|    
 |    
 |    
 |    
 |    
 | |
  
□ 기대효과
  
ㅇ 청년 수급자의 탈수급 및 자립 기반 마련
| 8 
 |    
 | 몸이 불편한 장애인도 건강검진을 쉽게 받을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장애인 건강검진 사업 
 | - 
 | 315 
 | 315 
 | 순증 
 | 
  
□ 사업개요
  
ㅇ 장애인이 어려움 없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편의시설, 장애인용 검진장비, 보조인력 및 편의서비스 등을 갖춘 장애인 건강검진기관을 지정
  
□ 지원내용
  
ㅇ (대상) 복지부 장관이 장애인건강권법 시행규칙* 지정기준에 따라 장애인건강검진기관으로 지정한 의료기관
  
* 시행규칙 제정안 입법예고중(8.18~9.27), ‘17.12.30 시행 예정
  
- ‘18. 10개소 지정, 연차별로 추가 지정 예정
  
ㅇ (내용) 지정기관에 장애인 검진 시 필요한 장비비 지원(개소당 6,000만원)
  
□ 기대효과
  
ㅇ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건강검진 수검율 격차* 해소를 통해 장애인 건강문제를 조기발견하여 장애인 건강상태 개선 및 국민의료비 절감
  
* (‘16년 일반검진수검율) 장애인전체 67%, 중증장애인 55.3%, 비장애인 77.7%
| 9 
 |    
 | 여성 청소년 대상 위생용품 지원이 확대됩니다 
 | 
  
여성가족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청소년 건강지원 
 | - 
 | 3,151 
 | 3,151 
 | 순증 
 | 
  
□ 사업개요
  
ㅇ 저소득층(중위소득50%이하) 여성청소년(만11~18세) 대상 위생용품 지원
  
□ 사업내용
  
ㅇ 위생용품을 신청한 지원 대상자에게 구매 비용 지원
  
□ 기대효과
  
ㅇ 사회 안전망 확충을 통해 저소득층 여성청소년의 건강하고 바른 성장 지원
  
  
| 10 
 |    
 | 고령자에 맞는 체력관리 프로그램과 헬스장비 개발합니다 
 | 
  
문화체육관광부, 체육진흥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스포츠서비스 사업화 지원 
 (스포츠사회서비스 시장 창출) 
 | - 
 | 2,156 
 (650) 
 | 2,156 
 (650) 
 | 순증 
 | 
  
□ 사업개요
  
ㅇ 고령자에 적합한 체력 증진 프로그램과 장비를 개발하여, 고령층이 안전한 환경에서 체계적으로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반마련
  
□ 지원내용
  
ㅇ 지원대상: 대학, 출연연, 기업 등
  
ㅇ 지원내용: 고령자를 위한 체력증진 프로그램 및 장비 개발 연구비 지원
  
| 구분 
 | 과제수행기간 
 | 과제당 연간 지원액 
 | 
| 정책지정과제 
 | 2~3년 이내 
 | 2~10억원 이내 
 | 
| 지정공모과제 
 (품목지정과제) 
 | 2~3년 이내 
 | 5~10억원 이내 
 | 
| 자유공모과제 
 | 1~2년 이내 
 | 1~2억원 이내 
 | 
  
□ 기대효과
  
ㅇ 고령자의 스포츠 활동을 촉진하여 노인 질환을 예방하고 의료비 부담을 절감
  
ㅇ 스포츠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통한 국내 스포츠산업의 발전
| 11 
 |    
 | 어르신도 스마트해 집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어르신 ICT 선도자 운영 
 | - 
 | 420 
 | 420 
 | 순증 
 | 
  
□ 사업개요
  
ㅇ ICT업계 은퇴자 위주로 팀을 구성하여 지역사회에서 정보화교육, ICT활용 상담․지원 등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 수행
  
□ 사업내용
  
ㅇ 전국 17개 시도별 10명내외(175명) 어르신 ICT 선도자팀 구성 및 운영
  
- 노인․장애인 복지관, 경로당, 저소득층 등 대상 정보통신 기기 수리, 교육, 상담 등 다양한 ICT 재능기부 활동 전개
  
ㅇ 고령층 ICT선도자 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우수 선도자(팀) 시상 및 사례 발표회를 실시하고, SNS 등을 통해 활동경험 교류
  
<어르신 ICT 선도자 활동 유형>
  
| IT 자원 관리 
 | ∙컴퓨터 정비, 수리 및 홈페이지 관리 
 | 
| 역기능 예방형 
 | ∙정보윤리 모니터링, 개인정보 침해 등 정보화 역기능 상담 
 | 
| 지역문제 해결형 
 | ∙커뮤니티 관리(생활문화·유해시설정보, 무연고 묘지 정보 입력 등) 
 | 
| 홍보형 
 | ∙복지관 및 비영리단체 등의 인터넷 홍보 
 | 
| 평가형 
 | ∙정부 정책 평가 모니터링, 웹사이트 접근성 점검 
 | 
  
□ 기대효과
  
ㅇ 다양한 ICT 재능기부 봉사활동을 통한 은퇴자의 사회참여 제고 및 노인․장애인 등 지역사회 ICT역량 강화
| 12 
 |    
 | 지방세 관련 고민을 덜어드립니다 
 | 
행안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지방세 납세자 권익보호사업 
 | - 
 | 80 
 | 8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주민의 납세권익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지방세 납세자보호관, 마을세무사 제도의 활성화
  
□ 지원내용
  
ㅇ 납세자보호관 제도개선을 위한 연구용역비 30백만원
  
- 납세자보호관의 의무설치(’17년 지방세기본법 개정)와 더불어 납세권익 향상과 납세자보호관의 독립성 확보 등을 위한 제도개선
  
ㅇ 납세자보호관 및 마을세무사 제도 홍보를 위한 수용비 50백만원
  
- 동영상, 포스터, 웹툰 등 다양한 홍보콘텐츠를 자치단체 제공, 신문·TV·라디오 등 전국단위 온·오프라인 홍보 추진
  
□ 기대효과
  
ㅇ 보다 많은 주민이 납세자보호관과 마을세무사의 도움을 통해 권익을 향상하고 지방세로 인한 고충 해결 기대
| 13 
 |    
 | 아빠의 휴직을 지원합니다 
 | 
  
고용부 고용보험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모성보호육아지원 
 | 1,084,585 
 | 1,311,068 
 | 226,483 
 | 20.9 
 | 
| (육아휴직급여) 
 | (782,648) 
 | (988,577) 
 | (205,929) 
 | 26.3 
 | 
  
□ 사업개요
  
ㅇ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을 위하여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의 육아휴직 급여 지원
  
- 특히,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두 번째 육아휴직자(통상 “아빠“)의 급여를 인상하여 지원(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
  
□ 지원내용
  
ㅇ (아빠휴직보너스제) 모든 자녀 대상 상한액 200만원으로 인상(현재 상한: 첫째 대상 150만원, 둘째 대상 200만원)
  
ㅇ (육아휴직급여) 첫 3개월 육아휴직급여 인상 지속 추진
  
* ‘17년 추경으로 추진(소득대체율 40→80%, 상한 100→150만원, 하한 50→70만원)
  
□ 기대효과
  
ㅇ 남성의 육아참여 확대를 통한 부모 공동육아 장려, 직장복귀 촉진, 대-중소기업간 일․가정 양립 격차 완화
  
| 14 
 |    
 | 병영생활 여건 개선을 위해 진중문고 보급확대 및 격오지 부대 독서카페를 설치합니다 
    
 | 
국방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진중문고 
 | 5,850 
 | 7,095 
 | 1,245 
 | 21.2 
 | 
| 독서카페 
 | 2,515 
 | 1,675 
 | △840 
 | △33.3 
 | 
  
□ 사업개요
  
ㅇ 격오지 부대 독서 환경 조성 및 장병 정서함양을 위해 民·軍이 함께 독서카페 설립
  
ㅇ 양질의 우수도서를 중대급 부대에 보급, 장병들의 정서함양과 교양증진에 기여
  
□ 지원내용
  
ㅇ 3개년(‘16~18년) 추진계획에 따라 GOP/해안소초 등 全 격오지 부대(989개소*) 독서카페 설치를 ’18년에 완료하여 장병들이 독서 및 휴식할 수 있는 공간 제공
  
* ’16년 455개소(46%)→ ’17년 403개소(86.8%)→ ‘18년 131개소(100%)로 설치 확대
  
ㅇ 군 내 자율적 독서문화 환경조성 및 장병 정서함양을 위해 全 중대급 부대에 양질의 우수 도서 보급을 확대
  
* ’17년 중대별 연간 50권 → ‘18년 연간 60권 확대 보급
  
□ 기대효과
  
ㅇ 신세대 장병의 정서 함양 및 건전한 여가시간 활용으로 장병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병영내 악성사고 감소에 기여
| 15 
 |    
 | 세계 100위권 대학 아시아캠퍼스 행복도시에 유치합니다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행특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ㅇ자족기능유치지원 
 | 458 
 | 1,658 
 | 1,200 
 | 262.0 
 | 
| - 해외대학설립준비금 지원 
 | - 
 | 1,200 
 | 1,2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세계대학평가에서 100위권 內 2개 외국대학 아시아캠퍼스
행복도시 유치
* 이탈리아 산타체칠리아 음악원: QS 공연예술 분야 세계 28위
* 아일랜드 트리니티대학: QS 종합대학평가 분야 세계 88위
  
ㅇ (개설 전공) 산타체칠리아 음악원 (피아노, 성악, 음악교육), 트리니티 대학교 (바이오, IT, 영문학)
□ 지원내용
  
ㅇ 설립준비비 6억원 × 2개 대학 (‘19년 개학 목표)
  
* MOU 체결 + 해당대학 본교 이사회 통과이후 1차 지급(3억) → 교육부 외국대학 설립승인 신청 후 2차 지급(3억)
  
□ 기대효과
  
ㅇ 행복도시에 세계 100위권 內 전통 명문대학을 유치하여 문화․예술 및 연구의 중심도시로 성장하고 국제적 교육도시로써의 역할을 기대
| 16 
 |    
 | 축산물 가격비교 플랫폼(고기넷)을 구축합니다 
 | 
  
농식품부, 축발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축산물 가격 플랫폼 구축 
 | - 
 | 782 
 | 782 
 | 순증 
 | 
  
□ 사업개요
  
ㅇ 축산물의 산지‧도매‧소매가격을 수집‧제공할 수 있는 축산물 온라인 가격비교 시스템(고기넷)을 구축
  
□ 지원내용
  
ㅇ 축산농가, 축산물을 취급하는 상인 외 축산물을 직접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축산물의 산지‧도매‧소매가격 제공
  
- (이용방법)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 폰(앱)을 통한 가격 조회
* 시스템 구축 후 축산물품질평가원 홈페이지(www.ekape.or.kr)에서 공지 예정
  
□ 기대효과
  
ㅇ 축산물의 가격 편차(단계‧구입처별)를 최소화하여 합리적인 가격 형성 유도
  
ㅇ 축산물 가격 자율경쟁 촉진을 통한 소비자 선택권 확대, 소상공인의 소득증대에 기여
| 17 
 |    
 | 유기‧유실동물 입양 비용을 지원합니다 
 | 
  
농식품부, 농특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동물보호및복지대책 
 (유기.유실동물 입양) 
 | - 
 | 756 
 | 756 
 | 순증 
 | 
  
□ 사업개요
  
ㅇ 지자체 동물보호센터에서 유실・유기동물을 분양받는 경우 소요되는 비용의 일부를 지원
  
- (지원대상) 동물보호법에 따라 운영 중인 지자체 동물보호센터에서 유실・유기동물을 분양받은 자
  
□ 지원내용
  
ㅇ 지원단가 : 최대 20만원 이내
  
ㅇ 지원조건 : 국비 20%, 지방비 30%, 자부담 50%
  
ㅇ 지원내용 : 질병 진단키트, 예방접종비, 중성화 수술비 등
  
□ 기대효과
  
ㅇ 유실・유기동물 분양 활성화 및 건전한 반려동물 문화 정착 기여
| 18 
 |    
 | 도매시장 경매를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유통비용 확 절감합니다 
 | 
  
농식품부, 농안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도매유통활성화(이미지경매시스템개발) 
 | - 
 | 340 
 | 340 
 | 순증 
 | 
  
□ 사업개요
  
ㅇ (내용) 농산물을 산지APC, 도매시장 내 저장고에 적재된상태에서 이미지를 통해 경매되고 최종 수요처로 분산
  
ㅇ (기간) ‘18∼계속 ※ 구리도매시장에서 시범적용 중
  
□ 지원내용
  
ㅇ 이미지 경매 시스템 개발 비용 340백만원
  
- 적합 품목 선정, 상품 표준화를 통해 시범 적용함으로써제도 및 시스템 보완, 확대방안 등 마련
  
  
□ 기대효과
  
ㅇ 농산물이 산지에서 도매시장으로 운송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농산물 선도 유지 및 도매시장 효율 증진
| 19 
 |    
 | 뱀장어 전용 고속도로 어도(魚道)를 만듭니다 
 | 
  
해양수산부, 농특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뱀장어 어도(魚道) 개발 
 | - 
 | 435 
 | 435 
 | 순증 
 | 
  
□ 사업개요
  
ㅇ 주요 강 하구에 설치된 제방에 뱀장어 전용 어도(魚道) 개발·설치
- 유영능력이 낮아 일반 어류와 같이 뛰어 오를 수는 없지만, 기어오르는 실뱀장어의 습성을 반영한 특수 어도 개발
  
* 뱀장어는 바다에서 산란된 치어(실뱀장어)가 강으로 올라와 성장한 후 산란을 위해 바다로 내려가는 습성이 있으나, 강 하구의 제방(방조제, 둑)에 가로막혀 실뱀장어가 강으로 올라가지 못하는 곳이 많음
  
□ 지원내용
  
ㅇ 실뱀장어가 많이 발견되는 강하구(영산강 또는 금강) 중 1개소를 선정하여 뱀장어 전용어도 개발·설치
  
ㅇ 사업효과 분석 후 뱀장어 어도 설치 확대(‘19∼)
* 뱀장어 양식은 내수면 양식의 74% 차지(‘16년 생산금액 기준)
* 실뱀장어 수급 현황(최근 5년 평균) : 수요(13.9톤), 국내(3.1톤), 수입(10.8톤)
  
□ 기대효과
  
ㅇ 국제적인 자원고갈 위기로 실뱀장어에 대한 국가 간 거래 규제 움직임에 대비하여 뱀장어 자원 회복 및 양식 산업을 보호하여 국민에게 안정적 먹거리로 뱀장어 공급
  
* 프랑스 D’Arzal-Camoël 하구둑의 뱀장어 전용 어도를 통해 강을 오르는 뱀장어 양은 1년에 약 870kg, (최대 5kg/1일)
(연간 경제적 가치: 870kg/년 × 2∼3천만원 = 174∼261억원)
| 20 
 |    
 | 양식장, 물고기와 전기를 동시에 생산합니다 
 | 
해양수산부, 에특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양식장 태양광 발전 
 | - 
 | 1,200 
 | 1,2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실외 양식장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원하여 양식장 소요전력 자체 수급 및 잉여전력 판매로 어가의 소득 증대
  
ㅇ 태양광, 해상풍력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에너지 생태계 구축
  
□ 지원내용
  
ㅇ 실외 양식장의 수면, 제방, 관리사 등에 태양광발전 시설 지원으로 전력을 생산
  
ㅇ 시범사업으로 2개 어가를 지원, 1개소당 발전량은 400kW, 사업비는 10억원(국비 6, 지방비 2, 자담 2) 기준
  
□ 기대효과
  
ㅇ 양식장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여 자체소요 전력 충족 및 잉여 전력 판매로 소득 증대(400kW 1개소 당 연간 60백만원)
  
ㅇ 고수온기(폭염기)에는 태양광 판넬 아래 그늘로 인해 양식장 수온이 3~4℃ 하락하여 안정적 양식 환경 제공
  
- 양식생물(메기) 조기출하로 사업성 향상(10월 → 9월 출하)
- 양식장 수온 적정 관리로 상품성 향상
  
ㅇ 태양광 발전으로 어가당 연간 탄소 배출량 224t 감소
| 21 
 |    
 | 화력발전소에 문화와 예술을 입히다 
 | 
  
문화체육관광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당인리 문화창작발전소 조성 
 | - 
 | 880 
 | 880 
 | 순증 
 | 
  
□ 사업개요
  
ㅇ 당인리 발전소는 우리나라 최초의 발전시설로 근대화·산업화의 상징성을 살려, 실험적 예술의 창작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조성
  
□ 사업내용
  
ㅇ 폐기예정인 서울화력발전소(당인리) 4, 5호기 리모델링
  
- 사업기간: 2018~2021
- 사업규모: 발전설비 21,770㎡ 리모델링
- 총사업비: 484억원
- 예술과 산업의 융합 등 새로운 유형의 예술창작·소비 공간
* 랩 공간, 전시․공연 공간, 예술놀이터, 아카이브 공간 등
  
□ 기대효과
  
ㅇ 실험적 예술의 창작과 참여적 예술문화 진흥의 장 마련
  
ㅇ 홍대 인근 문화예술, 산업(지하발전소), 한강 생태를 연계한 서울 서북권 대표 관광지 조성
| 22 
 |    
 | 무료 소송구조를 차상위 계층까지 확대 실시합니다 
 | 
법무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차상위 소송구조 
 | - 
 | 2,860 
 | 2,86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사업내용) 무료 소송구조(변호사비용 및 소송비용 무료 지원)를 기초생활수급자에서 차상위계층*까지 확대 실시
  
*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중위소득의 100분의 50 이하인 국민으로서, 국민 기초생활보장법의 수급권자에 해당하지 않는 계층
  
ㅇ (시행주체) 대한법률 구조공단
  
□ 지원내용
  
ㅇ 차상위계층 무료소송구조를 위한 비용 29억원 지원
  
- 9,920건*(소송구조 사건수)×288,294원(`16년 소송구조 건당 비용)
  
* 차상위계층 대상자 248만명 × 법률구조대상자 소송구조 회부율 0.4%
  
□ 기대효과
  
ㅇ 차상위계층에 대한 무료 소송구조 실시로 법률복지 사각지대 해소
  
ㅇ 차상위계층의 권익보호 및 생활안정 도모, 중산층 도약의 기반 마련
| 23 
 |    
 | 교정행정의 중점을 ‘수용’에서 ‘사회복귀 지원’으로 전환합니다 
 | 
  
법무부, 교도작업특별회계,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취업연계형 교도작업장 신설(교특) 
 | 1,115 
 | 5,844 
 | 4,729 
 | 424.1 
 | 
| 작업장 신규장비 구입(교특) 
 | 1,100 
 | 1,453 
 | 353 
 | 32.1 
 | 
| 취업지원비(일반) 
 | 5,977 
 | 7,335 
 | 1,358 
 | 22.8 
 | 
  
□ 사업개요 :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교정시설내 직업훈련․교도작업 실시 및 출소후 취․창업 지원 강화
  
□ 지원내용
  
ㅇ 교정시설 내 취업연계형 직업 훈련 및 교도작업 확대
  
- ‘지게차 운전’, ‘농기계 운전’ 등 취업 유력 업종에 대한 직업훈련장 및 장비 확충(15억원)
  
* 지게차운전 : (현) 여주교도소→(추가) 경북 3교도소
* 농기계정비 : (현) 화성직업훈현교도소→(추가) 원주교도소
  
- 출소자 취업을 조건으로 개방지역작업장에 민간기업을 유치하는 “취업연계형 교도작업장” 2개소 시범 설치(28억원)
  
* 침구류제작 M사(화성직업훈련교도소), 하이샤시 제작 T사(상주교도소)
  
- ‘자동차 정비’ 자격증과정에 참여한 수용자들의 기술 심화․습득을 위해 교도소 직영 자동차 정비소 1개소 신설(12억원)
  
* 자동차정비 직업훈련(30명)을 시행 중인 광주교도소에 설치
  
⇨ 1)교도소(17개)별 “직업훈련→교도작업→취․창업연계” 방안 마련(정책연구용역 2억원), 2) 기관장(교도소장)평가 등에 취업연계 실적 반영을 통해 취업연계형 사업을 전면 확산
  
ㅇ 출소후 취․창업지원을 담당하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등과 교정당국과의 협업을 강화하여 사회복귀 지원 효과 극대화
  
- 교정시설 내 직업훈련 수료자 등에 대한 출소 후 취업 지원 확대(5,000→5,500명, 60→73억원)
  
□ 기대효과
  
ㅇ 수형자의 안정적 사회복귀를 통한 사회안정 도모
| 24 
 |    
 | 신중년을 위한 폴리텍 캠퍼스를 운영합니다 
 | 
| 고용노동부, 고용보험기금 
 |    
 |    
 |    
 |    
 | 
|    
 |    
 |    
 |    
 | (백만원) 
 |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기능인력양성 및 장비확충 
 | 110,320 
 | 111,897 
 | 1,577 
 | 1.4 
 | 
| (신중년폴리텍) 
 | - 
 | 2,000 
 | 2,0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신중년(50·60세대)의 안정적 노후생활을 위해 재취업, 창업 등 노후준비를 위한 폴리텍 신중년 특화 교육훈련 과정 운영
  
□ 지원내용
| < ’18년 훈련 실시 캠퍼스 및 운영 계획 과정 > 
 | ||
| 캠퍼스 
 | 운영 과정 
 | 비고 
 | 
| 서울정수 
 | 자동차복원, 공조냉동 
 | (2개과정 × 2회) 
 | 
| 서울강서 
 | 시니어 헬스케어 
 | (1개과정 × 2회) 
 | 
| 남인천 
 | 특수용접, 전기시스템제어 
 | (2개과정 × 2회) 
 | 
| 대 구 
 | 전기설비기술, 특수용접 
 | (2개과정 × 1회) 
 | 
  
ㅇ (교육인원) 목표인원 300명(과정당 25명, 6개월 단기과정)
  
ㅇ (훈련대상) 50세 이상 실업자, 전직예정자 등
  
ㅇ (지원사항) 폴리텍대학 4개 캠퍼스·7개 과정을 선정하여, 핵심 기술·기능 훈련을 통해 재취업 및 창업 역량강화 지원
  
□ 기대효과
  
ㅇ 구조조정 및 4차 산업혁명 도래 등 고용의 불확실성이 높은 신중년에 체계적인 직업능력개발 촉진
  
ㅇ 신중년의 전직, 창업, 노후준비 강화로 인생이모작 설계 및 안정적 노후생활 지원
| 25 
 |    
 | 1인 영세 자영업자에 대한 고용보험료를 지원합니다 
 |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시장진흥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1인 소상공인 사회보험료 지원 
 | - 
 | 1,248 
 | 1,248 
 | 순증 
 | 
  
□ 사업개요
  
ㅇ 경영불안정성이 높은 1인 영세 자영업자에게 고용보험 가입시 보험료 일부를 지원
  
□ 지원내용
  
ㅇ 일정소득* 이하 1인 영세 자영업자가 고용보험 가입시 보험료의 30% 지원
  
* 자영업자의 고용보험료 산정의 기초가 되는 보수액 1등급(154만원)
  
ㅇ 총 1만명(기존 가입자 포함)에게 고용보험료를 지원
  
- 10,000명(지원인원*) × 34,650원(월보험료**) × 30% × 12개월
  
* 현재가입자 4천명 + 신규가입자 6천명
** 기준보수액 154만원의 2.25%
  
□ 기대효과
  
ㅇ 1인 영세 자영업자의 경영부담 완화 및 폐업시 실업급여 지급을 통한 사회안전망 확충
| 26 
 |    
 | 장병들에게 바디워시를 지급합니다 
 | 
  
국방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바디워시 
 | - 
 | 4,834 
 | 4,834 
 | 순증 
 | 
  
□ 사업개요
  
ㅇ 병사들의 생활여건 개선과 신세대 장병들의 선호를 반영해 개인용품으로 바디워시를 신규 보급
  
□ 지원내용
  
ㅇ 병사 일용품 보충보급품목에 바디워시 신규 추가
  
- 병영생활 수준 향상을 위해 신세대 장병들의 선호도가 높은 바디워시 추가
  
* ’16년(8개)→ ’17년(9개, 샴푸추가)→ ’18년(10개, 바디워시 추가)
  
- 병사들의 구매선택권 보장을 위해 세수비누, 치약, 칫솔, 샴푸, 바디워시 구매를 위한 일용품비를 현금으로 지급
  
* 현금 지급품목(5개) : 세수비누, 치약, 칫솔, 샴푸, 바디워시
* 현품 지급품목(5개) : 면도날, 세탁비누, 구두약, 세제, 화장지
□ 기대효과
  
ㅇ 병사들의 위생여건 개선 및 만족도 제고
  
| 27 
 |    
 | 자율자동차 주행데이터 공유의 장을 마련합니다 
 | 
국토교통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ㅇ 자율자동차 상용화 
 | - 
 | 1,200 
 | 1,200 
 | 순증 
 | 
| - 자율주행차 주행데이터 공유센터 
 | - 
 | 1,000 
 | 1,0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공공․민간의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을 통해 생성된 주행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업계․학계 등에 공유
  
*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 21대(12개 기관)
  
-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內(경기도 화성시 소재) 구축
  
□ 지원내용
  
ㅇ 자율주행차 주행데이터 공유센터, 주행데이터 수집․공유 시스템 및 웹사이트 개발 1,000백만원
  
- (공유센터) 680백만원 (전산망 구축) 320백만원
  
□ 기대효과
  
ㅇ 주행데이터(고속주행, 도심주행, 장애물극복 등) 공유를 통해단 기간 내에 기술개발 성과 창출 기대
  
ㅇ ‘2020년 자율주행차 조기 상용화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28 
 |    
 | 주민요청 사항과 빅데이터 분석결과가 바로바로 순찰 동선에 반영됩니다 
 | 
  
경찰청,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범죄분석시스템 구축 
 | - 
 | 824 
 | 824 
 | 순증 
 | 
  
□ 사업개요
  
ㅇ 지역주민이 요청하는 순찰장소ㆍ시간과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토대로 순찰궤적을 구현하여 경찰의 순찰동선에 반영
  
□ 지원내용
  
ㅇ지역주민이 요청하는 순찰시간ㆍ장소*와 빅데이터 분석결과 범죄발생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반영하여 순찰궤적 구현
  
* 탄력순찰 : 순찰신문고 웹페이지(9월 오픈) 및 오프라인 등 활용, 지역주민이 희망하는 순찰시간ㆍ장소 수렴 예정
  
ㅇ순찰궤적은 순찰요원의 태블릿에 즉시 전송, 서로 겹치지 않고 주민이 희망하는 장소에 즉각적인 순찰서비스 제공
  
□ 기대효과
  
ㅇ지역주민이 실제 희망하는 장소에 순찰함으로써 주민 참여형 치안을 실현하고 체감안전 제고
  
ㅇ경찰관들의 경험이나 직관이 과학적 분석에 근거한 데이터와 결합하여 범죄 예방 역량 극대화
| 29 
 |    
 | 실시간 위치추적으로 총기 범죄를 예방합니다 
 | 
  
  
경찰청,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총기위치추적시스템 구축 
 | - 
 | 281 
 | 281 
 | 순증 
 | 
  
□ 사업개요
  
ㅇ 민간에서 사용하는 총기 및 총기소지자의 위치를 실시
간으로 확인, 총기범죄・사고 예방 및 유사시 대응체계 구축
  
* 위치추적장치 개발 연구용역 120, 총기위치추적 시스템 구축 161 백만원
  
<참고: 총기 (수렵, 유해조수) 반출입 절차>
| ◇ 평소에는 경찰서에서 총기 보관. 필요시 보관해제 신청 
    
 ◇ (총기소시자) 경찰서 방문접수 → (경찰서) 결격사유등 점검, 보관해제 여부 결정후 총기를 지구대․파출소로 이송 → (지구대․파출소) 총기 출고 및 재입고 
 | 
  
□ 지원내용
  
ㅇ GPS 정보를 이용, 총기와 총기소지자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추적장치 연구개발 및 ‘총기위치추적시스템’
구축
  
* 추적장치 (APP포함) 실제 개발 및 적용까지 12개월 가량 소요
  
- (총기 소지자)
수렵기간 등 총기 사용시 위치정보 수집동의서 제출, 총기에 추적장치 부착 또는 스마트폰용 앱을 활성화
  
- (경찰)
경찰관서 보관 총기 출고 후 입고 시까지 실시간 위치정보 확인, 허가지역 이탈여부 감시 및 돌발상황 긴급 대응
  
□ 기대효과
  
ㅇ 위치정보를 활용한 개인소지 총기 관리 강화로 범죄 악용 가능성을 사전차단,
총기로부터 국민의 안전 확보
| 30 
 |    
 | 세계 소방관들의 올림픽 개최! 누가 누가 잘하나? 
 | 
  
소방청,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충주 세계소방관 경기대회 운영지원 
 | - 
 | 933 
 | 933 
 | 순증 
 | 
  
□ 사업개요
  
ㅇ 세계 소방관들의 우호 증진을 도모하고, 힘과 기량을 겨루는 스포츠 경기대회 개최
  
□ 사업내용
  
ㅇ 약 50여개국의 소방관과 그 가족들(약 4.5만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 행사
  
ㅇ 철인 3종, 최강소방관 경기, 소방관 요리대회 등 75 종목을 8일(‘18.9.10. ~ 9.17.)간 진행
  
□ 기대효과
  
ㅇ 대한민국을 세계에 알리고, 내․외국인 방문객들의 관광 지출로 경제 활성화 도모
| 31 
 |    
 | 국민-경찰-연구자가 함께 치안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겠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경찰청,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사업 (폴리스랩) 
 |    
 | 2,750 
 | 2,750 
 | 순증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1,375 
 | 1,375 
 | 순증 
 | 
| - 경찰청 
 |    
 | 1,375 
 | 1,375 
 | 순증 
 | 
* 과기정통부․경찰청 공동사업
  
□ 사업개요
  
ㅇ 치안 현장의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 경찰-국민-연구자가 협업하는 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추진
  
□ 지원내용
  
ㅇ 경찰·국민·전문가를 대상으로 치안 문제 접수를 위한 참여채널 운영 및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아이디어 발굴
  
ㅇ 基개발된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단기간내에 현장적용이 가능하도록 융합 R&D 지원 및 활용 촉진
  
ㅇ 실제 치안환경기반 기술개발을 위한 ‘실증 실험실’ 구축․운영 등 치안 인프라와 과학기술 연계를 통한 부처간 협업 추진
* (실증 범위) 광역(지방경찰청), 시·군·구(경찰서), 읍·면·동(지구대·파출소) 등
  
□ 기대효과
  
ㅇ 치안현장 문제해결 R&SD* 추진을 통해 범죄와 사고위험 최소화 및 국민 체감 안전도 향상
  
* Research & Solution Development
| 32 
 |    
 | 실종아동의 안전귀가 등 보다 안전한 사회를 구현하겠습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부/경찰청, 일반회계
  
|    
 |    
 |    
 |    
 | (백만원) 
 |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실종아동등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기술개발 
 | - 
 | 3,300 
 | 3,300 
 | 순증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 2,000 
 | 2,000 
 | 순증 
 | 
| - 산업통상자원부 
 | - 
 | 600 
 | 600 
 | 순증 
 | 
| - 경찰청 
 | - 
 | 700 
 | 700 
 | 순증 
 | 
* 과기정통부․산업부․경찰청 공동사업
  
□ 사업개요
  
ㅇ 첨단 ICT 기술을 통한 실종아동 찾기 및 범죄대응 등 국민 생활안전 증대를 위한 복합인지* 기반의 신원확인기술 개발
  
* 시간, 공간, 장비 등을 통한 다수의 정보를 융합하여 인지대상에 대한 정확한 인식, 추적, 추론 및 탐색 등이 가능토록 하는 인지기술
  
□ 지원내용
  
| 부처명 
 | 주요 개발내용 
 | 
| 과기정통부(주관) 
 | 복합인지 핵심 원천 SW 기술 개발 
 | 
| 산업부 
 | 복합인지를 활용한 신원확인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 
| 경찰청 
 | 신원확인을 위한 복합인지 기술 응용 및 인프라 구축 
 | 
  
□ 기대효과
  
ㅇ 복합인지 기반의 신원확인 기술(과기정통부) 및 동 기술을 탑재한 장치 개발(산업부), 실제 현장 적용(경찰청) 까지 원스탑(One-Stop) 서비스 제공을 통한 안전한 사회구현
| 33 
 |    
 | 재난대비 연습을 생생하고 실감나게 ! 
 | 
  
  
행정안전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재난안전취약핵심역량도약기술개발 
 (시뮬레이션 기반 조직단위 재난훈련기술) 
 | - 
 | 2,322 
 (1,000) 
 | 2,322 
 (1,000) 
 | 순증 
 (순증) 
 | 
  
□ 사업개요
  
ㅇ 기술수준이 낮은 재난대응분야*를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연구개발 수행
  
* 교육훈련, 긴급대피‧수송, 구호시설
  
□ 사업내용
  
ㅇ 사업규모 : 5년간 80억(’18년 10억) 연구개발(R&D) 투자
  
ㅇ 주요내용
  
- 조직‧기관 수준의 인원이 참여 가능한 재난상황 대비 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 재난대비 훈련 결과의 과학적인 평가 모델 개발
  
□ 기대효과
  
ㅇ 실제와 가까운 상황을 체험함으로써 재난 대응 능력 향상
  
| 34 
 |    
 | 국가방역체계 강화로 감염병 걱정없는 국가를 만들겠습니다 
 |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R&D) 
 | 28,211 
 | 28,481 
 | 200 
 | 1.0 
 | 
| -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R&D 
 | - 
 | 2,500 
 | 2,5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감염병에 대한 사전대비와 현장진단 및 안전 강화, 국민과의 소통 활성화를 위한 연구 지원
  
□ 사업내용
  
ㅇ (사전대비) 모기 등 감염병 매개체의 행동패턴을 수집‧분석하여 감염병 발생 및 확산 예측 프로그램 개발, 백신 연구
  
ㅇ (현장대응) 현장에서 여러 감염병을 동시에 진단 가능한 키트 및 안전을 위한 개인보호구 등 개발
  
ㅇ (소통체계) 주변국의 감염병 발생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하여 대국민 홍보, 자가격리자 상태 및 위치 확인앱 개발
  
□ 기대효과
  
ㅇ 감염병에 대한 효과적 예방‧대응 및 국민 신뢰도 제고
| 35 
 |    
 | 요리를 거치며 변하는 유해‧유용물질을 더 정확하게 잡아냅니다 
 | 
  
  
식약처,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한국형 총식이조사 
 | 158 
 | 1,098 
 | 940 
 | 594.9 
 | 
  
□ 사업개요
  
ㅇ 국민들이 주로 소비하고 많이 사용하는 식품들을 대상으로 우리 고유의 조리를 거칠 경우 실제 발생하는 유해성분과 유용성분의 변화량을 분석하여 기준‧규격의 재평가 등에 반영
  
* 오징어,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다소비식품의 3가지 조리유형(굽기, 튀기기, 끓이기)별 유해․유용물질 검사
  
□ 지원내용
  
ㅇ 농‧축‧수산물 및 원료성 가공식품 중에 존재하는 벤조피렌, 곰팡이독소 등 유해성분이 조리과정을 거치며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경향을 분석하여 안전관리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원
  
ㅇ 조리과정에 따른 식품 중 영양성분의 증감에 대한 분석지원
  
□ 기대효과
  
ㅇ 조리과정을 거치며 증가·감소하는 유해·유용성분에 대한 정보 제공
  
ㅇ 유해물질 적정관리를 위한 식품 기준‧규격 설정에 반영
  
ㅇ 조리까지 유해물질 저감화 정책 개발 지원
| 36 
 |    
 | 마약류의 오·남용을 철저하게 차단하겠습니다 
 | 
| 식품의약품안전처, 일반회계 
 | (백만원) 
 | |||
| 구 분 
 | ’17예산(A) 
 | ’18(안)(B) 
 | 증감(B-A) 
 |    
 | 
| % 
 | ||||
|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1,288 
 | 4,266 
 | 2,978 
 | 231.2 
 | 
  
□ 사업개요
  
ㅇ 마약류의약품에 대한 오·남용 차단을 위하여 ’18년 5월부터 취급정보 의무보고 제도가 시행됨에 따라 이를 지원하는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사업내용
  
ㅇ (보고체계 구축·운영) 제약사·병원·약국 등 5만 7천 마약류취급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고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ㅇ (오·남용 차단) 수집된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오·남용 실마리정보를 파악 및 과학적 안전관리 구현
  
- 마약류취급자별 ‘위험도를 계량화’하는 지능형 알고리즘 개발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선별·집중 안전관리
  
□ 기대효과
  
ㅇ 보험·비보험 모든 사용이력을 조사해 중복처방 의료기관, 과다 및 차명투약 환자를 추적·관리하여 국민건강 보호
| 37 
 |    
 | 안전을 대비 위험물질 운송차량 실시간 모니터링 합니다 
 | 
국토교통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위험물질 운송 모니터링시스템 구축 및 운영 
 | - 
 | 1,799 
 | 1,799 
 | 순증 
 | 
□ 사업개요
  
ㅇ 위험물질의 도로운송 전과정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ㆍ통제 등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물질운송안전관리센터」설치 및 위험물질운송모니터링 시스템 구축ㆍ운영
□ 사업내용
  
ㅇ 위험물질 운송차량의 실시간 위치 및 사고상황 모니터링ㆍ통제 체계 구축*
* ‘18년부터 위험물질 운송차량 300대에 모니터링 단말기를 시범설치하고, ’21년까지 관리대상 약 1만8천대 차량까지 확대 설치
- 대형 재난사고 예방을 위하여 운송위험물질 정보관리 및 진입제한구역* 표출 및 통제
* 인구밀집 지역, 상수원 보호구역, 통행제한구역 등
ㅇ 위험물질 차량의 사고 접수 및 사고대응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소방서ㆍ경찰서 등 유관기관과 자동연계*하여 신속한 방재 수행
* 사고위치, 위험물 적재정보, 차량정보, 운전자정보 등 사고정보를 유관기관에 자동송신
□ 기대효과
ㅇ 육로로 운송되고 있는 다양한 위험물질의 운송 사고에 대한 사전예방 및 사후 방재 조치 체계 마련으로 국민안전 확보
| 38 
 |    
 | 근로감독관의 과학수사로 근로조건 위반 밝혀냅니다 
 | 
  
  
고용노동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노동사범 수사의 과학화 
 | 0 
 | 900 
 | 900 
 | - 
 | 
  
□ 사업개요
  
ㅇ 노동사건 수사에 디지털자료에 대한 분석기법을 도입하여 적발률을 높임으로써 근로자 권리구제 도모
  
□ 사업내용
  
ㅇ 전국 지방고용노동청 3개소에 디지털증거분석팀을 신설
  
- PC‧스마트폰 등 IT기기의 자료 복원 및 증거 확보 등을 전담
  
※ 서울고용노동청 1개팀 시범운영 중(’16.7.1.개소)
  
□ 기대효과
  
ㅇ 노무관련 전산처리된 디지털자료는 특성상 위‧변조 및 삭제가 용이하므로, 사업주가 고의로 자료를 은폐 가능
  
- 디지털 분석수사기법의 도입으로, 사업주의 법 위반*을 정확히 밝혀내고 근로자 권리구제의 실효성제고
  
* 출퇴근시간 조작, 근로계약서 수정, CCTV 영상 삭제 등
  
| < 디지털 증거분석 예시 > 
 ‧(출퇴근자료 확보) 
 ㅇㅇㅇ사측에서 근로자 출퇴근 자료가 3개월치만 존재한다고 주장 → ㅇㅇㅇ사 사내시스템에 접속하여 2년치 출퇴근 기록 자료 확보 
 ‧(근로시간 계산) 
 ㅇㅇㅇ사측에서 근로시간 계산 요청 거부 →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증거분석팀이 직접 근로시간에 대한 자료를 분석 
    
 ⇨ 시정조치 및 근로자 권리 보호 
 | 
| 39 
 |    
 | 야생생물소재 보존·관리를 강화합니다 
 | 
환경부, 환경개선특별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야생생물소재연구동 건립(설계비) 
 | - 
 | 1,000 
 | 1,0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내 야생생물소재연구동 신축
  
- 건축규모 : 연면적 6,300㎡(4층 규모), 부지면적 5,200㎡
  
- 사업기간 : 2018년 ~ 2020년
  
□ 지원내용
  
ㅇ 야생생물소재의 안정적 보존과 지속적 증식·활용체계 마련을 위한 야생생물소재은행 시설신축
  
- 야생생물유전자원은행, 야생생물종자은행, 야생생물천연물은행, 생물자원배양센터 등 전문 연구시설을 설치
  
□ 기대효과
  
ㅇ 생물소재의 안정적 연구를 통한 실생활개선
  
- 고품질 생물소재 확보·관리 → 기업 요청 → 대체 소재 연구 및 컨설팅 → 무상 분양·제공 → 공동특허 → 상용화
| 40 
 |    
 | 소청도에서 철새연구 ․ 조사사업을 시작합니다 
 | 
  
환경부, 환경개선특별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AI대응 철새정보 네트워크 구축 
 | - 
 | 1,098 
 | 1,098 
 | 순증 
 | 
  
□ 사업개요
  
ㅇ 인천광역시 소청도 국가철새연구센터에서 철새연구․조사 및 유전자분석 수행
  
□ 지원내용
  
ㅇ 포획한 철새에 가락지를 부착하여 종 식별 및 이동 경로분석
  
ㅇ 국가철새정보를 하나로 통합한 DB구축 및 책자발간
  
ㅇ 깃털, 배설물 등 시료 채취를 통한 철새유전자 분석연구
  
□ 기대효과
  
ㅇ 철새를 통해 전이되는 AI 및 전염병 등의 사전차단
  
ㅇ 미확인 철새 발굴 및 책자발간을 통한 대국민인식제고
  
| 41 
 |    
 | 한국형 메이커 스페이스 구축을 지원합니다 
 | 
  
중소벤처기업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 ㅇ 크리에이티브 랩 
 | - 
 | 34,920 
 | 34,920 
 | 순증 
 | |
|    
 | (시제품제작터) 
 | - 
 | 27,000 
 | 27,000 
 | 순증 
 | 
|    
 | (창업생태계문화기반구축) 
 | - 
 | 7,920 
 | 7,92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아이디어가 상상에 머무르지 않고 구현․사업화될 수 있도록 우리 실정에 맞는 참여․융합형 크리에이티브 랩 생태계 구축
  
□ 지원내용
  
ㅇ 크리에이티브 랩 구축을 위해 상상구현터(일반랩) 70개, 창업연결터(전문랩) 5개를 구축하고, 인력양성․문화활동 등 지원
  
ⅰ) 학생․직장인 등 일반인들이 손쉽게 접근하여 혁신적 아이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상상구현터」 70개소 조성
  
ⅱ) ‘아이디어 → 시제품 → 사업화’ 연결을 위한 대규모 메이커 스페이스인 「창업연결터」 5개소 구축
  
ⅲ) 메이커 전문인력 양성, 메이커 문화확산 등 혁신 아이디어의 공유‧융합을 위한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지원
  
□ 기대효과
  
ㅇ 국민의 자유로운 창작활동이 확산되어 사업화까지 연계될 수 있는 참여․융합형 혁신 창업생태계 기반 구축
| 42 
 |    
 | 스와힐리, 다리, 크메르어를 배울 수 있습니다 
 | 
| 교육부, 일반회계 
 | (백만원) 
 | |||
| 구 분 
 | ’17예산(A) 
 | ’18(안)(B) 
 | 증감(B-A) 
 |    
 | 
| % 
 | ||||
| 특수외국어교육 진흥 
 | - 
 | 3,180 
 | 3,180 
 | 순증 
 | 
  
□ 사업개요
  
ㅇ 특수외국어 기반조성을 통해 특수외국어 구사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국가경쟁력 강화
  
ㅇ 교육과정, K-MOOC강좌, 전공개설, 사전개발 등 지원
  
□ ’18년 지원내용
  
ㅇ 현황조사 후 이에 기반하여 표준 교육과정 및 평가․ 인증체제를 구축하고 10개 언어 사전 개발
  
ㅇ 특수외국어 학과 및 전공개설을 통한 인력양성 지원
  
ㅇ K-MOOC강좌 개발, 특수외국어 진흥센터, 정보종합포털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특수외국어 교육 인프라 구축
  
□ 기대효과
  
ㅇ 특수외국어 교육기반을 조성하여 국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관련 국가와 교류 증진 및 시장 확대
| 43 
 |    
 | 고전문헌 동북공정에 적극 대응합니다 
 | 
| 교육부, 일반회계 
 | (백만원) 
 | |||
| 구 분 
 | ’17예산(A) 
 | ’18(안)(B) 
 | 증감(B-A) 
 |    
 | 
| % 
 | ||||
| 한국고전총간 편간 
 | - 
 | 300 
 | 3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중국의 고전문헌 동북공정인 유장(儒藏)*및 역외한적(域外漢籍) 편찬사업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고전총간**” 편간
  
* 2000년대부터 중국 대학에서 한국,일본,베트남의 한문 전적을 편찬, 이황 등의 우리나라 大학자 한문 저서를 중국 한문학에 포함
  
  
** 한국의 모든 고서(약 1만종 10만책 8억7천5백만자)을 정리․집대성하여 책자 간행 및 DB 구축하여 국내외 보급
  
□ ’18년 지원내용
  
ㅇ 중국의 고서공정에 따른 한국 전통 사상․학술․문화의 중국 아류화 (亞流化) 방지 및 우리 고유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사업비 3억원* 지원
  
* 1차년도로서 향후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비, 자료 조사비, 학술회의 등
  
□ 기대효과
  
ㅇ 한국 한문고전 정리․연구 사업의 체계화 및 효율성 제고
  
ㅇ 한국 사상․학술․문화의 고유성을 확보하여 동아시아 한문문 화권에서 독립적 위상 정립
  
◦ 한국 한문고전의 세계화
| 44 
 |    
 | 동북아 평화와 전세계 해양안보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국제관함식 행사를 개최합니다 
    
 | 
  
국방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국제관함식 
 | - 
 | 2,897 
 | 2,897 
 | 순증 
 | 
  
□ 사업개요
  
ㅇ 새정부 출범 후 해양강국으로서의 국격을 과시하고, 건군70주년을 계기로 동북아 평화기여 및 해양안보협력 증진을 위한 국제관함식 개최
  
□ 사업내용
  
ㅇ(국제관함식) 국가안보를 책임지는 대한민국 해군의 위용 과시
ㅇ(방산전시) 해양방위산업 수출 증진을 위한 방산전시회 개최
ㅇ(對국민) 국민과 함께 하는 국제적인 해양행사 및 문화축제 개최
  
□ 기대효과
  
ㅇ우방국간 우호증진 및 국내 해양방위산업 수출 증진 기여ㅇ개최지역 문화축제와 연계한 지역 경제 활성화 기여
| 45 
 |    
 | 똑똑한 한국형 기술로, 우리 국가대표가 한발 앞서 갑니다 
 | 
  
문체부, 체육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첨단기술 기반 국가대표 경기력 향상 
 | - 
 | 2,000 
 | 2,0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경기 중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 수집․분석 자료를 기반으로한 경기/선수 정보 분석과 이를 통한 선수 관리․육성 체계 수립
  
□ 사업내용
  
ㅇ 국가대표 전략‧전술 고도화 및 경기력 극대화를 위한 한국형 솔루션 개발
  
* 선수 데이터 수집용 최천단 융합 센서 기반 웨어러블 디바이스계층별 선수 경기/훈련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플랫폼빅데이터 기반 선수 선발 시스템인공지능 기반 전략ㆍ전술 지원 시스템 개발 등
  
□ 기대효과
  
ㅇ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국가대표 선수들의 체력, 경기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함으로써, 대한민국의 경기경쟁력 향상 및 국위선양에 기여
  
* (해외사례) 독일 축구국가대표팀의 경우 독일의 데이터 기업(SAP)을 통한 체계적인 경기력 향상시스템의 구축·확용을 통해 월드컵 등 주요 국제대회를 석권
| 46 
 |    
 | 부처협업으로 새로운 의료융합 서비스 시장을 창출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의료융합기술개발 
 | - 
 | 7,487 
 | 7,487 
 | 순증 
 | 
  
□ 사업개요
  
ㅇ 인공지능, 바이오, 로봇 등의 차세대 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하여 새로운 개념의 의료융합기술 및 서비스 창출
  
* 과기정통부 18.87억, 산업부 28억, 복지부 28억, 식약처(연계지원)
  
□ 사업내용
  
ㅇ (부처협업) 다부처사업을 통해 부처, 연구자 간 칸막이를 해소하고 자발적, 창의적 융합연구개발 지원
  
ㅇ (시장선도형) 기존 제품・기술에 대한 추격형 연구보다는 시장선점이 가능한 융합 신기술 발굴 및 지원
  
ㅇ (전주기지원) “기초・원천연구 → 제품개발 → 임상・허가”로 이어지는 제품개발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 기대효과
  
ㅇ 글로벌 기업들이 선점하고 있는 의료산업에 융합의료기술개발을 통한 신시장 창출 및 관련 서비스 선점
| 47 
 |    
 | 민・관 데이터를 연계해 데이터 가치를 극대화 합니다 
 | 
통계청,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통계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 
 | 150 
 | 4,716 
 | 4,566 
 | 3,044.0 
 | 
  
□ 사업개요
  
ㅇ 데이터의 사회적 활용가치 극대화를 위하여, 민・관 부문 자료를 연계・활용 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데이터 분석 플랫폼 구축
  
□ 사업내용
  
ㅇ 통계분야 빅데이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개인・기업의 비밀사항을 포함하는 자료가 많아 대외개방에 애로
  
- 민감도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국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보안장치 및 시설 등을 갖춘 전용공간 마련
  
ㅇ 통계청 등이 보유한 인구DB, 소득・부채DB, 기업등록부DB 등의 데이터 제공 및 연계・분석 서비스 지원
  
□ 기대효과
  
ㅇ 공공・민간데이터의 연계 지원을 통해 데이터의 잠재적 가치 확장 및 활용 가능성 증대
  
ㅇ 국가 각 분야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제공으로 과학적 근거에기반 한 효과적인 의사결정 지원
| 48 
 |    
 | 빌&멜린다 게이츠재단과 함께 백신 개발을 지원합니다 
 |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기금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글로벌헬스기술연구기금 
 | - 
 | 5,000 
 | 5,0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대한민국 정부, 빌&멜린다 게이츠재단, 국내 제약ㆍ바이오기업이 협력하여 감염병에 취약한 개발도상국을 위해 백신 개발을 지원하는 기금을 조성ㆍ운영(‘18~’22)
  
□ 사업내용
  
ㅇ 우리 정부, 게이츠재단, 국내 제약ㆍ바이오기업이 공동 출자하여 향후 5년간(‘18~’22) 총 5백억원 규모의 백신기금 조성
  
* 우리 정부 50%, 게이츠재단 25%, 국내 제약ㆍ바이오기업 25%
  
ㅇ 제약기업, 대학·연구소가 국제기구, 외국 대학·기업 등과 공동으로 백신을 개발하여 감염병에 취약한 개도국에 공급
  
□ 기대효과
  
ㅇ 국제적인 게이츠 재단과의 협조와 민간의 창의적인 역량을 활용하여 인도적 지원의 효과성 제고
  
ㅇ 감염병으로 고통받는 개발도상국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백신을 지원하여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지하고 국격을 제고
| 49 
 |    
 | 2018 「IEC 부산총회」로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견인합니다 
 | 
산업통상자원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2018 「IEC 부산총회」 개최 
 | - 
 | 2,840 
 | 2,84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우리기술의 국제표준 선점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2018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총회’를 부산에서 개최
  
*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기술위원회): ISO(국제표준화기구)․ITU(국제전기통신연합) 와 함께 3대 국제표준화기구로 전기․전자분야 표준․인증 제․개정 및 운용
  
□ 지원내용
|    
 | < 2018 「IEC 부산총회」 개요 > 
 |    
    
 | 
|    
 |    
 | |
|    
 ㅇ 기간/장소 : ’18.10.15.(월)~10.26.(금), 12일간 / 부산 벡스코(BEXCO) 
    
 ㅇ 참가규모 : 83개국 대표단 3,000여명, 총회 등 총 698개 회의 개최 
    
 * ‘16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10년 미국 시애틀 총회에 이은 역대 3번째 규모 
 | ||
ㅇ (총회 개최) IEC 국제총회, 표준화관리이사회 등 30여개 정책위원회, 92개 기술위원회 등 총 698개 회의 개최
ㅇ (기타 프로그램) 미래기술 전시관, 표준화 논문공모전 및 표준교육 컨벤션 등 표준의 중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제고
  
□ 기대효과
  
ㅇ 교역량 기준 전기·전자·통신제품(ICT)이 전체 수출액의 32.8%(1위)를 차지하는 세계 3위 수출국으로서,
- (위상 강화) 국내 산업계 위상에 걸맞은 강국의 면모를 다시 보이고, 우리기업 제품의 미래시장 선점 계기를 마련
  
- (수출 증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핵심기술의 전략적 홍보를 통하여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 및 세계 시장 선점․확대
| 50 
 |    
 | 중소기업간 협업을 통한 안정적 원부자재 수급 지원 합니다 
 | 
중소벤처기업부, 일반회계
(백만원)
| 구 분 
 | ‘17예산 
 (A) 
 | ‘18(안) 
 (B) 
 | 증감 
 (B-A) 
 |    
 | 
| % 
 | ||||
| 中企 원부자재 공동구매 보증지원 
 | - 
 | 1,500 
 | 1,500 
 | 순증 
 | 
  
□ 사업개요
  
ㅇ 중소기업 원부자재 공동구매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구매단가 인하 및 안정적인 원부자재 수급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공동구매 전용보증 지원
  
□ 지원내용
  
ㅇ「공동구매 전용보증」신설을 통해 구매 중소기업 추가 구매력 지원 및 판매기업 대금지급 불확실성 해소
  
ㅇ 총 225억원 보증제공 및 연간 900억원 공동구매 지원
  
- 15억원 × 15배수(보증배수) = 225억원
  
* 연 4회전 활용 시 연간 900억원 공동구매 지원 가능
  
□ 기대효과
  
ㅇ 공동구매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구현하여 구매단가 인하 및 영업이익 증가 등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 전용보증을 통해 연간 900억원 공동구매할 경우 중소기업 영업이익률 1.3%p 증가 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