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선세무서 소득세과 직원들의 한숨이 늘고 있다.
종합소득세 신고와 EITC 신청 업무가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인력보강 등과 같은 실질적인 대책이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서다.
앞서 국세청은 지난해 11월말 '업무량 감축 및 직원 전문성 제고를 위한 2012년 업무계획 지방청·일선 토론회'를 개최, EITC 담당 실무자들의 의견 수렴한 바 있다.
당시 일선서 소득세과 직원들은 토론회를 통해 민원인들이 불편을 겪지 않으면서 직원들도 만족할 만한 최선의 대안이 제시되길 기대했었다.
하지만 그로부터 5개월여가 지난 현재까지도 국세청은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올해부터는 EITC 총소득기준이 1천700만원에서 2천500만원으로 상향되고 무자녀 가구와 18세 이상 자녀를 둔 가구도 EITC 대상에 포함돼 신청대상이 대폭 확대된다.
일선 소득세과에 따르면, EITC 대상 확대로 지난해 51만9천가구(3천986억원)였던 EITC 지원 대상은 올해 100만여가구로 2배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그만큼 EITC 신청업무를 담당하는 일선서 소득세과 업무는 늘어난다는 얘기다.
하지만 업무가 늘어난 것과는 반대로 국세청이 지난 2월 확대 개편한 '숨긴 재산 무한 추적팀' 등으로 직원들이 빠져나감에 따라 EITC 신청업무를 담당하는 소득세과 직원들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게다가 각종 직무교육 및 파견,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으로 일정 비율 이상의 결원이 발생하고 있어 5월부터 시작되는 종합소득세 신고와 EITC 신청 업무를 생각하면 일선서 소득세 직원들은 골머리가 아픈 상황이다.
한 일선서 소득세 과장은 "5월에는 될 수 있으면 직원들에게 휴가나 교육을 자제해 줄 것을 권고하고 있다"면서도 "줄어든 인원으로 늘어난 업무를 어떻게 감내해 달라고 해야 할 지 걱정이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소득세과에 대한 직원들의 선호도는 최악이다. 될 수 있으면 소득세과를 피하려는 현상이 직원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다.
그런 만큼 이제는 국세청이 나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늘어난 업무만큼 인원을 늘릴 수 없다면, 상대적으로 업무량이 많은 세무서나 부서에 인사상의 어드벤테이지를 줘 직원들의 사기를 끌어 올릴 필요가 있다"는 한 일선서 소득세과장의 의견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