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국회 정무위의 금융감독위원회.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BBK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한 대통합민주신당 의원들의 부실 조사 추궁에 대해 김용덕 금융감독원장 겸 금융감독위원장이 김경준 소환 조사에 협조하기 위해 사전 준비를 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은 또 하나은행의 LKe뱅크 투자와 관련한 검사 필요성 제기에 대해 "11월 하나은행의 정기 검사가 예정돼 있어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김현미 의원(대통합민주신당)은 BBK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 "1차 주가조작 사건은 2001년 5월에 증권업협회가 금감원에 통보하자, 금감원이 8월 말에 조사에 착수했으나 관련 자료만 수집하다 말았다"며 "금감원의 옵셔널벤처스관련 주가조작 사건에 대한 조사가 부실했음이 확인된 만큼 (금감원은) 국정조사를 받는 일만 남았다"고 압박했다.
신학용 의원(대통합민주신당) 역시 "주가조작 일어난 이후에도 3개월 보름이나 시간을 주고도 사람 하나 부르지 않았다"며 "1차 주가조작 사건 조사는 아예 하지 않았는데 외부 압력이 있지 않고선 이처럼 늑장조사를 할 수 없다"고 부실 조사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이에 대해 김 금감위원장은 "당시에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는 사안으로 생각하지 못했다"며 "2001년 8월에 조사에 착수해 같은해 12월 2차 주가조작 사건 통보가 올 때까지 기초조사를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사건은 끝난 사건이 아니라 계속 되는 사건이어서 김경준의 소환 조사 과정에서 철저하게 협조해서 진실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병석 정무위원장(대통합민주신당)이 "사전 예비 조사를 하고 있다는 것이냐"고 묻자 김 위원장은 "그렇다"고 답변했다.
또 정봉주 의원(대통합민주신당)은 "하나은행-LKe뱅크간 투자품의서에 대해 하나은행이 김경준의 설명만을 토대로 작성됐다고 해명한 것은 부실 투자를 자인한 것으로, 이명박 후보를 감싸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며 외압 의혹을 제기하고, "하나은행의 부실 투자 관리에 대해 검사가 필요한 것이 아닌가"라고 추궁했다.
이에 대해 김 금감위원장은 "(투자와 관련) 문제가 생긴 사안에 대해선 보게 되는데, 지금까지 파악한 바로는 투자금을 돌려받았다고 한다"며 "하나은행 정기검사가 11월 중 예정돼 있는 만큼 (이때) 살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10월 말 하나은행은 정 의원이 하나은행의 내부 문서를 인용해 "BBK가 LKe뱅크의 100% 출자회사"라고 주장한 것과 관련, "내부품의서상의 LKe와 BBK의 지배구조는 김경준 씨의 설명만을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실제 지배구조와는 다를 수 있고 풋옵션으로 인해 투자금 회수의 위험이 적은 상태라 깊이 있는 분석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고진화 의원(한나라당)은 삼성그룹 구조조정본부 법무팀장 출신의 김용철 변호사가 차명계좌를 동원해 삼성 비자금을 관리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금융실명제법에도 불구하고 동원된 계좌는 물론 계좌번호까지 다 공개됐는데 실명제 위반 등과 관련해 조사해야 하지 않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현재 우리은행에서 자체 정황을 파악하고 있으며 (검찰 등의) 동향도 우선 보겠다"며 "이후 (조사여부)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연합뉴스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