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 언론이 자국 정부가 구글의 인터넷 영업 면허를 갱신했음을 11일 확인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이날 중국 공업정보화부 관리를 인용, 주무부처인 공업정보화부가 구글 차이나의 인터넷영업허가(ICP) 갱신 신청을 심사를 통해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이 관리는 신화통신과 인터뷰에서 "구글 차이나의 운영자인 구샹(谷翔) 인포메이션 테크놀러지가 지난달 말 제출한 신청서를 심사한 결과 이 회사가 중국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단, 영업면허를 갱신했다"고 말했다.
반관영 통신사인 중국신문사도 이 부처 관리와 인터뷰를 통해 허가 갱신 사실을 전하면서 공업정보화부 홈페이지의 영업면허 갱신 기업 명단에 허가번호와 함께 구샹이 포함됐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구글은 2012년까지 영업할 수 있는 허가를 받았지만 이 허가는 매년 갱신해야 하는 상황이다.
중국 언론의 확인보도가 나가기 전인 지난 9일 구글은 이메일과 블로그 성명을 통해 중국 정부로부터 홈페이지 운영에 필요한 ICP를 갱신받았다며 "중국 내에서 웹 검색 및 지역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기를 고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구글은 지난 3월 중국의 검열과 해킹공격 등을 이유로 중국어 검색 사이트(google.cn)의 서비스를 중단했으며, 대신 이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자동으로 홍콩 사이트(google.com.hk)로 연결되도록 했다.
그러나 우회 서비스에 대해 지난주 중국 정부가 인터넷 영업허가를 내주지 않을 수도 있다고 경고하며 거부감을 보이자 구글은 지난달 30일 ICP 갱신 허가 시한을 하루 앞두고 우회 서비스를 중단하며 '새로운 접근(new approach)'이란 방식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했다.
구글은 구샹 테크놀러지 명의로 영업 면허 갱신을 신청하면서 중국 정부의 통신관련 57번 규정에 명시된 대로 중국 법을 준수하고 법을 위반하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인터넷 검열과 해킹 피해 등으로 촉발된 구글 사태는 미·중 양국의 자존심 싸움으로까지 번졌으나 이번에 구글의 중국내 영업 허가증이 갱신됨으로써 잠잠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