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조직 보유기업 비중 65%…전년 대비 9%p↓
모든 미비점 감사위원회에 보고하는 기업, 19% 불과

2조원 이상 상장사 10곳 중 9곳은 올해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예정대로 도입할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당국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대형 상장사를 대상으로 한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계획대로 올해부터 도입하되 예외적으로 도입 유예를 신청하는 상장사에게는 최대 2년간 유예를 허용키로 했다.
국내 내부회계관리제도(ICFR) 평가조직을 보유한 기업의 비중은 65%며, ICFR 평가를 위한 외부전문가 활용비중은 68%로 조사됐다.
삼정KPMG가 자산 1천억원 이상 기업 11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조직 서베이 리포트’에 따르면, 조사대상 가운데 77곳(65%)가 ICFR 평가조직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74%) 대비 9%p 감소한 수치다.
ICFR 평가조직 보유 비중이 전년 대비 감소한 요인은 조사대상 중 1천억원~5천억원 미만 상장사 비중 증가와 함께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시 외부전문가를 활용한 아웃소싱이 증가한 영향이다.
1천억원~5천억원 미만 기업 비중은 이번 조사에서 53%로 전년 대비 2%p 증가했으며, ICFR 평가를 위한 외부전문가 활용 비중은 68%로 전년(60%) 대비 8%p 뛰었다. 기업들이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운영의 복잡성과 시간제약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 조직 대신 외부전문가를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한 2조원 이상 상장사 중 대다수(92%)는 올해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예정대로 도입할 것이라고 답했다. 적용 대상 기업 중 8%만이 유예 신청을 고려 중인 것으로 대다수 기업들은 기업 평판 관리와 2년 후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 도입이 불가피한 점을 고려해 예정대로 도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CFO 및 CEO가 ICFR 평가조직 최고책임자인 비율은 올해 81%로 지난해 85%보다 4%p 감소했다. 또한 최고책임자인 CFO와 CEO 중 90%는 내부회계관리자를 겸하며 평가·운영을 동시에 담당하고 있었다. 감사위원장 또는 내부감사실장이 ICFR 평가 조직의 최고책임자인 경우는 4%에 불과했다.
경영진이 감사(위원회)에 모든 미비점을 보고하는 비중은 19%에 불과해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중요한 취약점과 유의한 미비점을 보고하는 비중은 42%에 달했다.
삼정KPMG 감사위원회 지원센터(ACI) 리더인 김유경 전무는 “ICFR의 적정한 운영과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서는 독립성을 확보한 감사(위원회)의 역할과 모든 미비점 보고가 필수적”이라며 “지속적으로 자금 관련 부정위험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회사는 감사(위원회)에 모든 미비점을 보고하고 감사(위원회)의 점검 등이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정위험 관리를 위해 유의적으로 검토하는 업무 프로세스로는 자금영역이 8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전사수준통제(52%), 영업(37%)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대규모 횡령과 같은 자금영역에 대한 재점검 방법으로 ‘법인인감관리 및 관리대장유지(81%), ‘자금일보에 대한 상위권자의 검토 및 승인(77%)’를 비롯해 ‘OTP∙공인인증서 관리(67%)’, ‘월/분기 결산시점에 주기적인 은행잔액 조회 및 대사(63%)’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정KPMG 내부회계관리제도(K SOX) 전문조직 리더인 신장훈 부대표는 “올해부터 2조원 이상 상장기업에 도입되는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는 국내외 자회사까지 확산되는 것이므로 전사적인 차원에서 관리 역량을 집중하고 외부전문가의 활용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