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사외이사 147명 중 관료 출신 50명(34%)
검찰 출신 12명(24%)으로 가장 많아…국세청 7명(14%)
올해 30대 그룹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10명 중 서너 명은 관료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선임된 관료 출신 사외이사는 검찰이 가장 많았고 국세청이 그 뒤를 이었다.
9일 기업분석연구소(대표⋅박주근)가 국내 30대 그룹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219개 기업의 신규 사외이사 147명의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34.0%(50명)가 관료 출신이었다.
관료 출신 비중은 지난해 30.5%에 비해 3.5%p 늘었으며, 지난해 31.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던 학계 출신은 올해 25.9%(38명)로 5.8%p 감소했다.
신규 선임된 관료 출신 사외이사는 검찰 출신이 12명으로 24.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문무일 전 검찰총장이 삼성SDS 사외이사에 선임됐으며, 한화시스템과 한진은 윤석열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동기이자 대검찰청 차장검사를 차례로 지낸 구본선 변호사를 사외이사에 선임했다.
롯데케미칼과 현대건설기계는 차경환 전 수원지검장(겸직)을, 고려아연은 권순범 전 대구고검장을 사외이사에 선임했다.
현대위아는 이동렬 전 서울서부지검장, 신세계 그룹 계열사인 이마트와 광주신세계는 이상호 전 대전지검장과 이건리 전 창원지검을 각각 사외이사에 신규로 선임했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다음으로 많은 기관은 국세청으로 14.0%(7명)로 나타났다. 현대그린푸드(임경구 전 국세청 조사국장), 현대리바트(유재철 전 중부지방국세청장), 현대이지웰(정현철 전 잠실세무서장) 등 현대백화점 그룹 계열사가 대표적이다.
법원(판사) 출신 12.8%(6명), 공정거래위원회가 8.5%(4명)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중 여성은 27명으로 18.4%를 차지했다. 이로써 30대 그룹 사외이사 767명 중 여성 사외이사는 141명으로 지난해 119명에 비해 22명 증가하며 여성 사외이사들의 비중도 15.1%에서 18.4%로 3.3%p 늘었다. 여성 사외이사 경력은 학계가 44.7%(63명)로 가장 높았고 관료 출신이 17.0%(24명), 재계출신 16.3%(23명), 법조출신 10.6%(15명)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