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상위 20% 기업 차입금의존도 21.8%…전년 동기 대비 1.0%p 감소
매출액 하위 80% 기업 차입금의존도 20.6%…전년 동기 대비 0.5%p 증가
"코로나19 피해산업, 운영자금 금융지원 확대 등 지원 강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매출액 상위 일부 기업을 제외한 대다수 상장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코스피 및 코스닥 비금융 상장사 820곳의 작년 1분기와 올해 1분기 재무제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재무안정성을 나타내는 차입금의존도가 기업규모별로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1분기 상장사 전체의 차입금의존도는 21.6%로 전년 동기 대비 0.8%p 감소했다.
그러나 기업 규모별로는 매출액 상위 20% 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21.8%로 전년 동기 대비 1.0%p 감소해 재무안정성이 개선된 반면, 하위 80% 기업의 차입금의존도는 20.6%로 전년 동기 대비 0.5%p 증가해 재무안정성이 악화됐다.
○매출액 분위별 차입금의존도(단위 : 조원) |
|||||||
|
5분위 (상위20%) |
1∼4분위 (하위80%) |
4분위 |
3분위 |
2분위 |
1분위 (하위20%) |
|
총 차입금 (A) |
20.1Q |
338.5 |
52.7 |
30.8 |
10.2 |
6.7 |
5.0 |
21.1Q |
341.5 |
56.6 |
32.5 |
11.0 |
7.6 |
5.5 |
|
증가율 |
0.9% |
7.4% |
5.5% |
7.8% |
13.4% |
10.0% |
|
자산 (B) |
20.1Q |
1,483.2 |
261.7 |
130.8 |
65.2 |
34.7 |
31.0 |
21.1Q |
1,568.6 |
274.7 |
134.4 |
69.9 |
38.5 |
31.9 |
|
증가율 |
5.8% |
5.0% |
2.8% |
7.2% |
11.0% |
2.9% |
|
차입금의존도 (A/B) |
20.1Q |
22.8% |
20.1% |
23.5% |
15.6% |
19.3% |
16.1% |
21.1Q |
21.8% |
20.6% |
24.2% |
15.7% |
19.7% |
17.2% |
|
증감 |
△1.0%p |
0.5%p |
0.7%p |
0.1%p |
0.4%p |
1.1% |
|
※ 자료 : KISVALUE |
○코로나19 대표 피해업종 차입금의존도(단위 : 억원) |
||||||
|
관광레저 |
면세점 |
조선 |
숙박 |
항공 |
|
기업 수 |
19개사 |
3개사 |
7개사 |
3개사 |
7개사 |
|
총 차입금 (A) |
20.1Q |
22,511 |
147,739 |
79,854 |
10,346 |
258,145 |
21.1Q |
34,097 |
155,513 |
74,420 |
10,592 |
230,048 |
|
증가율 |
51.5% |
5.3% |
△6.8% |
2.4% |
△10.9% |
|
자산 (B) |
20.1Q |
132,377 |
360,541 |
378,771 |
31,871 |
431,170 |
21.1Q |
134,300 |
360,032 |
340,876 |
33,156 |
451,070 |
|
증가율 |
1.5% |
△0.1% |
△10.0% |
4.0% |
4.6% |
|
차입금의존도 (A/B) |
20.1Q |
17.0% |
41.0% |
21.1% |
32.5% |
59.9% |
21.1Q |
25.4% |
43.2% |
21.8% |
31.9% |
51.0% |
|
증감 |
8.4%p |
2.2%p |
0.7%p |
△0.6%p |
△8.9%p |
|
※ 자료 : KISVALUE, |
한경연은 “올 1분기 중 매출액 하위 80% 기업들은 자산보다 차입금이 더 큰 폭으로 증가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 자금사정의 ‘K’자형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방증한다”고 평가했다.
5대 코로나19 피해업종의 1분기 차입금의존도는 업종별로 희비가 갈렸다.
관광레저(8.4%p), 면세점(2.2%p), 조선(0.7%p)은 1분기 차입금의존도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해 팬데믹 초기에 비해 재무안정성이 악화된 반면, 항공(△8.9%p), 숙박(△0.6%p)의 차입금의존도는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해 재무안정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레저 업종은 영업환경 악화에 따른 유동성 위기에 차입금 확대(51.5%)로 대응하면서 차입금의존도가 8.4%p 급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국내외 관광수요가 급감하면서 작년 1분기 이후 관광레저 업종의 영업활동 현금흐름 순유출도 지속되고 있다.
반면, 항공업종은 업황부진에도 불구하고 지난 1년간 차입금 규모가 10.9% 감소하면서 차입금 의존도가 8.9%p 하락했다.
한경연은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였던 작년 1분기 당시 항공업종의 차입금의존도가 60%에 육박했다”면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유상증자 등을 통해 자본을 확충하고 차입금을 상환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럼에도 항공업종의 차입금의존도가 50%를 상회한다”며, “재무구조가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현금흐름을 통한 업종별 자산변화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피해업종 중 항공을 제외한 나머지 면세점, 조선, 관광레저, 숙박 등 4개 업종의 올해 1분기 ‘지분·금융상품 및 기타자산’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이들 업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으면서 유동화가 용이한 지분 및 금융상품 등의 매각을 통한 현금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봤다.
업종별 1분기 지분․금융상품 및 기타자산 증감액은 면세점 -1조814억원, 조선 -4천372억원, 관광레저 -668억원, 숙박 -289억원, 항공 1조6천311억원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1년이 지나도록 상당수 기업들의 재무구조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면서, “더구나 관광레저, 음식·숙박 등 코로나 피해업종은 대부분 자산 매각과 차입금 확대를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기에 급급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추 실장은 “운영자금 금융지원 확대 등 코로나19 피해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