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원화 강세,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2014.06.20 10:29:51

원·달러 환율이 하락 추세를 보이자 수출 위축을 통해 경제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하지만 원화강세가 부정적인 영향만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우리의 수출 경쟁력이 환율 하락으로 크게 떨어질 정도는 아닌데다 환율 하락에 따른 수입 물가 하락은 내수 회복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환율, 수출에 대한 영향 줄어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1022.4원)보다 3.7원 내린 1018.7원에 마감했다. 1050선에 머물던 두 달 전과 비교하면 30원 이상 하락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올해 말까지 원·달러 환율이 세 자릿수 대로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제조업을 영위하는 주요 대기업 12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업체들의 손익분기점 원·달러 환율은 1052.3원이었다. 전경련은 원화가치가 10% 상승할 경우 제조업 영업이익률은 평균 0.8%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수출이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보다 크게 줄어들었다. 기술발전에 힘입어 제품경쟁력을 높였기 때문이다. 해외생산 확대도 환율의 영향을 줄이는 요인이다.

경상수지 흑자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4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71억2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6개월째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원화값 상승이 반드시 경상수지 흑자에 타격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근영 한은 경제연구원 국제경제연구실장은 "경상수지 흑자국가의 경우 환율 신축성이 높으면 경상수지 흑자가 조정될 확률은 높지만 포트폴리오투자 및 기타투자를 중심으로 외국인 자본유입은 촉진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원화 절상이 경상수지 흑자 규모를 촉진한다 하더라도 외자 유입을 증가시켜 경상수지 조정을 지연시킨다는 얘기다.

◇환율 하락, 소비 진작 효과 가져와

원화절상이 수출 기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수입 물가 하락을 가져온다. 수입 물가가 낮아지면 실질구매력이 높아져 국내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내수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외환당국이 언제까지 수출 기업을 위한 환율방어에만 치중할 수는 없다는 반론도 이어진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원화 약세로 수출대기업의 실적은 사상 최대치 경신 행진을 이어갔지만 낙수효과는 미미했고, 소비자들은 수입 제품을 비싼 값에 사서 써야 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과거엔 원화 절상이 수출에 부정적으로 작용해 경기에 좋지 않다고 도식적으로 이해했지만 이제는 다르다"며 "수출 부진에는 영향을 줄 수 있겠지만 실질구매력을 높여 내수 부진을 완화하는 긍정적 효과도 가져다 준다"고 언급한 바 있다.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가장 피부에 와닿는 것이 에너지 수입가격의 하락이다. 내수 기업과 소비자들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는 수입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이득을 볼 수 있다. 실제로 한은에 따르면 지난 5월에는 원유 가격이 5.3%나 올랐지만 원·달러 환율이 7.7% 내리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1.9% 내렸다.

이라크 사태로 유가가 들썩이는 상황에서 환율 하락은 갑작스러운 물가 상승을 막는 효과를 낸다. 물가가 오르면 가뜩이나 세월호 참사 등으로 인해 주춤한 내수 경기가 급속도로 얼어붙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中企의 기초체력은 키워줘야

국외 생산 비중이 커 환율 변동성을 낮출 카드가 있는 대기업과는 달리 환율 변동성에 민감한 중소기업은 환율 하락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 결과 수출 중소기업의 91.5%가 환율 하락에 따라 채산성(수익성)이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대기업이 환 헤지 상품인 환 변동보험에 가입해 지속적인 환 관리를 하는 데 비해 중소기업은 이마저 여의치 않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를 타파할 수 있는 방안은 환율 방어가 아니라 중소기업의 환율 민감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지원이라고 말한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달 수출동향점검회의에서 "정부에서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 노력을 할 것"이라며 "중소기업 스스로도 환 위험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세정신문 기자
- Copyrights ⓒ 디지털세정신문 & taxtime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행처: (주)한국세정신문사 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7안길 11 (서교동, 디.에스 빌딩 3층) 제호:한국세정신문 │ 등록번호: 서울,아00096 등록(발행)일:2005년 10월 28일 │ 발행인: 박화수 │ 편집인: 오상민 한국세정신문 전화: 02-338-3344 │ 팩스: 02-338-3343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화수 Copyright ⓒ 한국세정신문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