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난해 취득세 수입이 부동산 시장 한파로 전년 대비 1300억원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부동산 관련 취득세 수입은 2조1899억원으로 전년보다 5.47%인 1266억원(5.47%) 줄었다. 취득세 납부 건수는 21만1819건으로 24.45% 줄었다.
25개 자치구 중 취득세수가 높은 곳은 강남구(3179억원)다. 그뒤를 서초구(1062억원), 중구(1548억원) 등순이 따랐다. 반면 도봉구는 303억원을 걷어 세수가 가장 적었다. 강북구(387억원), 중랑구(389억원) 등이 그뒤를 이었다.
취득세 감소폭은 용산구가 가장 컸다. 지난해 용산구 취득세 신고건수와 세액은 각각 4268건, 826억원으로 같은기간 각각 39.75%, 39.96% 줄었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난항이 이유로 꼽힌다.
서울시 전체 취득세수 중 강남, 서초, 송파 등 이른바 강남3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7.49%로 전년 29.57% 보다 2.08%p 하락했다.
한편 서울시 취득세수 감소는 정부가 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해 취득세율을 낮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지방세인 취득세 인하로 재정 악화를 우려하자 세수 감소분 전액 보전을 약속했지만 서울시만 2011년 444억원이 보전되지 않은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