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당 평균 접대비 2017년 4억7천만원→ 2021년 3억4천400만원
홍성국 의원 "불필요한 접대비 줄이고 미래 먹거리에 더 투자해야"
국내 영업 중인 전체 법인 가운데 상위 1%의 접대비가 최근 5년간 평균 4분의 1 가량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수입금은 17% 늘었다.
기업의 접대비가 이윤 창출에 도움이 된다는 세간의 인식과는 정반대의 결과가 도출된 셈이다.

11일 홍성국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2017~2021년)간 상위 1% 법인의 수입금은 17% 증가한 반면, 접대비는 약 5%, 법인 평균 접대비는 27%가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상위 1% 법인 수는 6천954개에서 9천63개로 30% 증가했으며, 수입금액은 3천193조1천400억원에서 3천742조942억원으로 17%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접대비는 3조2천689억원에서 3조1천163억원으로 5% 감소했다. 상위 1% 법인의 평균 접대비는 4억7천만원에서 3억4천400만원으로, 지난 5년새 1억2천600만원이 감소했다.
홍 의원실은 접대비가 감소한 데에는 코로나 영향으로 접촉이나 거래가 활발하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다만 접대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업 수입은 증가했다. 접대비 사용이 기업에게 필요하지만 반드시 기업 수입금의 증가와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현재 수준의 접대비로도 충분히 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반증한 셈이다.
실제로 최근 5년간 법인 수입금은 549조나 급증했다. 증가한 수입금만큼 접대비 지출 여력이 더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들은 접대비를 늘리지 않고 있다. 그만큼 기업들이 신중한 경영을 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홍성국 의원은 “불필요한 접대비 사용은 자제하고, 투명하게 사용해야 한다”며 “직원들의 복리후생 및 기업의 미래 먹거리를 찾아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