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영끌은 과장됐다…"집 살 수 있는 20대는 '엄빠' 잘 둔 소수"

2022.09.29 13:25:15

최근 3년간 주택자금조달계획서 161만여건 분석

3억 이상 대출한 2030 '영끌족' 10명 중 1~2명 꼴 

20대 43% "투자목적"…갭투자 28%, 상속·증여 6%

자기자금 없이 집 산 20대 12.3%…'대출 0원'  41.1%

심상정 "부동산 소득·자산 세습 통로 주목해야" 

 

최근 3년간 집을 구매한 2030세대 중 3억원 이상 대출을 받은 ‘영끌족’은 전체의 10~20% 수준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세대별로는 차이를 보여 사회초년생인 20대는 상속·증여, 갭투자로 구매자금을 마련해 투기적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는 실거주를 목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활용해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29일 심상정 의원(정의당)은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주택자금조달계획서 161만1천204건을 분석한 결과, 개인 주택구매자 중 연령미상을 제외한 150만6천85명 중 20대 주택구매자는 12만9천854명으로 전체의 8.6%를 차지했다.

 

30대는 43만9천704명으로 전체의 29.2%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40대는 38만473명, 50대 28만6천235명 순이었다.

 

□ 금융기관대출액 합계가 3억원 이상인 영끌 비율(단위: 명, %)

 

심상정 의원실은 ‘영끌족’ 기준을 주택매수 과정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3억원 이상의 대출을 받은 2030대로 보고 분석했다. 대표적 정책금융제도인 디딤돌대출 한도가 2억5천만원(기본)에서 3억1천만원(2자녀 이상 가구)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같은 기준으로 살펴보면 영끌족은 20대는 1만6천25명으로 전체 20대 주택구매자의 12.3%, 30대는 8만8천108명으로 20%를 차지했다.

 

□주택구입목적(단위: %, 명)

 

특히 20대와 30대의 주택구매 행태는 목적과 자금조달 방식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우선 30대는 본인입주, 즉 실거주 목적으로 집을 구입한 경우가 71.6%로 가장 높았다. 이는 모든 연령대 중에서 가장 높은 비중으로, 전체 평균 65.4%를 웃돌았다. 임대 목적은 24.4%로, 모든 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았다.

 

반면 20대는 절반에 가까운 42.6%의 구매자들이 임대 목적으로 집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자를 제외하고 전 연령층에서 두 번째로 높다. 실거주 목적은 54%로 나타났다.

 

□ 자금 조달방식(단위 :%)

 

주택구매자금을 조달한 방식을 보면, 30대는 주택담보대출이 23.1%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는 전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수치다. 뒤이어 본인 소유 부동산 처분대금(21%), 세입자의 임대보증금(갭투자)(17.1%), 금융기관 예금(14.3%) 순이었다.

 

 

반면 20대는 세입자의 임대보증금 활용을 통한 갭투자가 27.9%로 가장 비중이 컸다. 뒤이어 주택담보대출(22.3%), 금융기관예금(13.4%) 순이었다. 상속·증여 비중도 6%로 전체 평균 2.4%를 크게 웃돌았다. 30대는 3%로 집계됐다.

 

특히 자기자금을 전혀 투입하지 않고 집을 구매한 비중이 12.3%에 달했다. 이는 30대(4.6%)와 전체 평균(5.6%)보다 2배 이상 많은 것이다. 대출을 전혀 받지 않고 집을 구매한 비중도 41.1%로 30대(25.8%)에 비해 높았다.

 

심상정 의원은 2030세대 부동산 구매와 관련 "‘영끌’보다 임대 목적, 상속·증여, 갭투자라는 단어로 압축되는 소수 20대의 특혜적·투기적 주택구매과 부동산 세습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평범한 청년들이 한국사회에서 집을 사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며 “부동산이 결국 소득과 자산을 세습하는 통로가 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한 “윤석열 정부가 청년들의 내 집 마련을 돕겠다며 내놓은 청년원가주택도 결국 엄빠찬스를 쓸 수 있는 청년들만 그 집의 주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평범한 청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주거급여를 확대하고, 최저주거기준을 강화하고, 공공임대주택을 늘리는 일”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기자 kyr@taxtimes.co.kr
- Copyrights ⓒ 디지털세정신문 & taxtime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발행처: (주)한국세정신문사 ㅣ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7안길 11 (서교동, 디.에스 빌딩 3층) 제호:한국세정신문 │ 등록번호: 서울,아00096 등록(발행)일:2005년 10월 28일 │ 발행인: 박화수 │ 편집인: 오상민 한국세정신문 전화: 02-338-3344 │ 팩스: 02-338-3343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화수 Copyright ⓒ 한국세정신문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