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4.19. (금)

기타

"심폐소생술 시행시 생존 가능성 3.3배"

갑작스런 심장정지로 쓰러진 환자에게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하더라도 생존할 가능성이 3.3배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이 지난해 급성심장정지로 병원에 실려온 환자에 대해 의무기록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을 때 환자의 생존율은 15.5%로 집계됐다. 미시행 생존율(3.3%)와 비교하면 12.2%포인트 높았다.

 뇌기능 회복률도 심폐소생술을 실시했을 때는 10.6%지만, 실시하지 않았을 때는 1.7%에 그쳐 6.2배 차이였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증가해 2006년 1.3%에서 지난해 16.8%까지 높아졌다. 

 하지만 미국 애리조나(39.9%), 일본 오사카(36.0%) 등과 비교하면 여전히 낮고, 지역간 차이도 발생 중이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지역별 최고치는 2008년 3.1%에서 29.6%로 높아졌지만, 최저치는 0.6에서 6.1%로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역간 격차는 2.5%에서 23.5%로 크게 벌어졌다.

associate_pic
【세종=뉴시스】
질병관리본부는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며 "심폐소생술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전파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2만9832건으로, 전년 3만771건 대비 3.0% 감소했다.

 70세 이상 어르신이 최근 3년간 전체 발생의 50%를 차지하며, 발생 주원인은 '질병'에 의한 것이 70% 이상이었다.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는 가정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제6차 급성심장정지조사 심포지엄'을 열고 지역사회의 심폐소생술 및 심장정지 생존율 변화와 지역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전략을 논의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