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검색

구독하기 2024.03.29. (금)

경제/기업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시 손실비용 1조원

최근 잇따른 지진으로 신규 원전 건설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단될 경우 약 1조원의 손실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8일 한국수력원자력 고리본부 울주홍보팀에 따르면 올해 9월 중순까지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위해 들어간 예산은 총 1조27억원이다.

원자로·터빈 발전기 건설에 7051억원, 보조기기 17억원, 주설비공사 351억원, 부대공사 333억원, 종합설계용역비 1405억원, 기타 용역 136억원, 용지비 등 734억원이 들어갔다.

원전 건설이 중단될 경우 지금까지 들어간 예산은 모두 매몰비용(이미 지불해서 되돌릴 수 없는 비용)으로 처리된다는 게 울주홍보팀의 설명이다.

더욱이 기자재 및 공사·용역계약 파기에 따른 손해배상 책임을 놓고 관련 업체와 법정분쟁이 잇따를 것으로 보여 손실액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원자로나 터빈발전기를 제외한 보조기기의 계약금액은 6477억원에 이른다.

또 원전 수출시장을 이끌어온 한국형 원전의 경쟁력 약화와 함께 국내 원전 기자재 산업의 동반 침체도 우려된다.

반면 원전 건설 중단을 요구하는 사회단체측은 사회적 비용도 비용이지만 활성단층인 양산단층대에 원전을 건설할 경우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울산과 부산, 경남, 경북지역은 140㎞에 달하는 양산단층을 비롯해 크고 작은 단층이 60여개나 존재하고 지질학적으로 불안정한 신생대에 위치해 있어 원전 건설지로 적당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1978년 국내에서 계기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역대 최대 규모인 5.8의 지진이 지난 12일 양산단층대인 경주에서 발생하면서 이같은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이에 대해 울주홍보팀은 신고리 5·6호기 건설부지는 미국 연방규정을 준용한 지진 안전성 평가 등을 거쳐 가장 적합한 곳으로 선정됐다고 해명했다.

미국의 경우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활동성 단층(최근 3만5000년 내 1회 또는 50만년 내에 2회 이상 지진 활동이 확인된 단층)' 유무를 중요시한다.

신고리 5·6호기의 경우 국내 지질 및 지진 전문가들이 참여해 반경 320㎞ 광역조사와 8㎞ 정밀조사를 한 결과, 부지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활동성 단층'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2일 경주지진 발생시 고리원전에서 계측된 지진진동값도 0.0537g으로 신고리 5·6호기의 내진설계값인 0.3g에 훨씬 미치지 못했다고 울주홍보팀은 덧붙였다.

울주홍보팀 관계자는 "신고리 5·6호기는 부지특성, 국내외 선행 원전의 경험, 후쿠시마 사고 후속조치, 규제기관의 인허가 요구사항 등 안전성과 관련된 개선사항을 대폭 설계에 반영했다"며 "에너지 자원이 부족한 현실에서 값싼 양질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신고리 5·6호기는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에 건립되며 총 8조8745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플랜트 사업이다. 5호기는 2021년, 6호기는 2022년 완공될 예정이다.








배너